
다유증, 과잉 유방 혹은 이소성 유방으로도 알려진 부유방은 정상적인 가슴 부위 외에 다른 곳에 유방 조직이 증식해 유방이 형성되는 질환이다. 부유방은 겨드랑이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지만, 가슴을 만드는 ‘밀크라인’을 따라 팔, 가슴아래, 복부, 사타구니 등 다른 부위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은 몽우리부터 완전히 발달된 기능적인 유방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부유두와 유륜까지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유방의 발달은 태아 발달 5주경 겨드랑이에서부터 가슴을 거쳐 안쪽 사타구니까지 이어지는 밀크라인의 뿌리에서 생성이 된다. 태아의 성장에 따라 가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유선의 뿌리는 퇴화되어 사라지게 되는데, 3~6% 정도에서 퇴화되지 못하고 뿌리가 남은 채로 2차 성징이나 임신 및 출산을 겪으면서 크기가 커져 부유방으로 발달된다. 드물게 이러한 부유방은 섬유선종, 낭종, 유방암 등 병리적으로 정상유방과 동일한 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
부유방의 일반적인 증상은 생리, 임신 그리고 출산 후 모유 수유를 하면서 겪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부유방이 부어오르고 통증이나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출산 후 부유두를 통해 젖이 나오는 경우가 있어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관상으로 도드라지기 때문에 웨딩드레스를 입어야 하는 예비 신부들에게 커다란 스트레스를 주기도 한다. 그래서 결혼을 앞둔 예비신부들이 웨딩 전 부유방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부유방의 치료는 우선적으로 유선의 유무와 그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일부 잘못된 홍보로 인해 지방흡입만으로 부유방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아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임시방편이 될 뿐,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 않아 환자는 재수술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부유방은 단순한 살이 아닌 질환이며 때문에 건강보험 적용도 가능한 것이다. 초음파와 유방 촬영을 통해 불필요한 유선이 확인되면 반드시 유선조직의 제거가 되어야 하며, 체형에 맞게 지방흡입이 이루어져야 수술 후에 환자에게 어울리는 체형을 기대할 수 있다.
부유방 수술의 유선조직 제거는 난이도가 높은 수술이다.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위인 겨드랑이 부유방은 수많은 신경과 혈관, 림프조직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기 때문에 해부학적 지식과 임상경험이 풍부한 유방을 전공한 외과 전문의에게 진료와 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여성들이기 때문에 절개 흉터에 매우 민감한데 본원의 겨드랑이 부유방 치료는 1cm 구멍을 통해서 마무리되는 매직부유방이라는 독자적인 상표권으로 수술을 하고 있기 때문에 흉터 스트레스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겨드랑이 안쪽 주름선을 통한 1cm 내외의 절개의 수술은 흉터가 거의 보이지 않고 절개 부위가 작은 만큼 일상생활로 복귀가 빠르다.
부유방은 1cm 최소절개 수술법으로 치료 가능하다. 지방흡입을 동반한 수술은 겨드랑이 라인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며, 임신을 하면 부유방의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임신전에 수술하는 것을 권유한다. 부유방에서 유방암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초음파 검사와 제거된 조직의 병리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에서 시행하여야 하며, 가슴아래 부유방은 지방조직으로만 형성되어서 지방흡입만으로 완치가 된다.
부유방은 수술을 통한 제거가 유일한 방법이다. 정확히 진단하고 수술할 수 있는 의료기관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고, 단 한 번의 수술로 통증과 외적인 스트레스를 모두 해결하고 치료 후 자신감 있는 삶을 살아가길 희망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