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61누적된 총 기사 -365,458

무릎 퇴행성 관절염, 치료법 나누는 기준은?

최윤진의 금쪽같은 내 무릎

가자연세병원/최윤진 병원장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흔한 질환으로, 특히 무릎 관절 사용이 많거나 부하가 많이 걸릴수록 잘 생긴다. 누적 사용기간이 긴 고령자, 무릎 사용이 많은 직업군, 인대손상, 반월상 연골판 손상 등 외상 과거력이 있는 사람의 경우 상대적으로 골관절염 발생 위험이 높다.

무릎 골관절염 통증으로 내원하면 증상과 영상 검사를 바탕으로 퇴행성 관절염을 진단한다. 병원에서는 X-레이 소견으로 퇴행성 관절염 진행 정도를 분류하는 ‘켈그렌 로렌스 분류법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K-L 그레이드)’을 주로 사용한다. 실제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의 퇴행성 무릎 골관절염 치료 기준으로도 활용되기 때문에 이 분류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켈그렌 로렌슨 분류법은 ▲뼈가 덧 자라는 ‘골극’ ▲무릎 위 대퇴골과 무릎 아래 경골 사이 관절 공간이 좁아지는 정도에 따라 K-L 분류 0~4(정상~심각한 관절염)까지 5단계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인 단계별 관절 상태는 다음과 같다.

▶0단계(K-L 그레이드 0): 골극이나 관절 간격 감소가 뚜렷하지 않고, 이외에 특별한 소견 또한 보이지 않는 상태다. 정상 무릎 관절에 해당한다.

▶1단계(K-L 그레이드 1): 정상과 거의 유사한 소견을 보이지만, 골극으로 의심되는 병변이 보이거나, 관절 간격이 약간 좁아진 것처럼 의심되는 소견에 해당한다.

▶2단계(K-L 그레이드 2): 골극이 명확하게 관찰되며, 마찬가지로 관절 간격이 약간 좁아진 것처럼 보인다.

▶3단계(K-L 그레이드 3): 여러 개 골극이 명확하게 관찰되고, 관절 간격이 확실하게 좁아져 있다. 연골하골 경화(뼈가 더 하얗게 보이는 소견)도 동반된다.

▶4단계(K-L 그레이드 4): 더 거대한 골극이 관찰되며, 관절 간격도 더 좁아져 대퇴골과 경골이 맞닿는 정도다. 보다 심각한 연골하골 경화가 관찰된다.

기본적으로 모든 단계에서 생활습관 관리와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 볼 수 있다. 호전이 없을 경우엔 약물치료, 주사치료를 시도할 수 있고, 중등도 이상 심한 관절염(K-L 그레이드 3, 4)은 수술적 치료도 고려한다.

많은 환자가 궁금해하는 인공관절 수술은 3, 4단계에서 고려해볼 법한 치료법이다. 나이와 상관없이 4단계에 해당하거나 65세 이상이면서 3단계에 해당될 때 시행한다.

다만 3단계 이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인공관절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증상은 경미하지만 영상검사상 중등도 이상 퇴행성 관절염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 경우도 있다. 증상이나 나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치료 기준으로 생각해선 안 된다. 담당 주치의와 상의해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것을 권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최윤진의 금쪽같은 내 무릎

무릎 연골이 도대체 뭐죠? 인대는 왜 있는 거죠? 내 무릎과 친해지는 방법을 가르쳐 드립니다. 백세 시대에 누구라도 피해갈 수 없는 무릎 질환과 수술을 피할 수 있는 방법, 오래 오래 본인의 무릎으로 통증 없이 잘 쓸 수 있는 운동 방법까지 무릎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가감없이 전달합니다.

가자연세병원 /최윤진 병원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인턴 및 정형외과 전문의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전임의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외래 부교수
- 연세대학교 정형외과 관절경연구소 정회원
- 대한 정형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 슬관절학회 정회원
- 대한 견주관절학회 정회원
- 대한 스포츠학회 정회원
- 대한 관절경학회 정회원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