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28누적된 총 기사 -365,643

임플란트의 대표적 부작용은?

백세시대치아솔루션

알프스치과의원/박경아 대표원장


임플란트는 금속으로 된 인공치의 뿌리를 잇몸 뼈에 식립한 후 그 위에 자연치아와 같은 의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잃어버린 치아를 대신하게 하는 현재는 대중화된 방법이다. 

임플란트 수술은 크게 식립과 보철, 그리고 유지관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는다. 다른 수술들처럼 임플란트도 각 과정마다 부작용의 위험이 존재한다. 우선 첫 과정에서 많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는 감염과 신경손상이다. 

임플란트 부위에 감염이나 그로 인한 부종이 생기면 임플란트가 아예 뼈에 부착되지 않고 흔들려서 빠지게 되는 유착 실패로 이어지기 때문에 수술 과정에서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임플란트는 거즈나 붕대로 수술한 부위를 감쌀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노출되다 보니 수술 후 세균이 침투해 염증이 생길 위험이 높다. 또 입안은 늘 세균이 존재해 있기 때문에 완전 무균상태로 수술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하지만 수술 도구를 완벽하게 멸균 처리하고 수술 부위에 대한 철저한 소독 후 수술을 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감염이 되는 일은 거의 없는 편이다. 대부분의 감염은 그 원인이 환자에게 있는 경우가 많다. 같은 음식을 먹어도 어떤 사람은 장염으로 고생하고 또 어떤 사람은 괜찮은 것처럼 면역력에 따라 사람마다 반응이 다를 수 있어서 당뇨가 있다거나 전신 질환이 있으면 감염의 위험이 높아진다. 그래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에 어떤 질환이 있는지 꼼꼼하게 체크하고 수술이 어려운 환자라면 다른 치료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각 환자의 상태에 맞게 항생제 등을 선제적으로 투여함으로써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수술 전 치아 스케일링을 통해 구강 내 세균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법도 도움이 되며 무엇보다 수술 부위가 커지면 감염 위험 또한 커질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무절개 시술로 감염을 줄이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는 신경 손상이 있다. 뼈 안에는 중요한 하치조 신경이 있는데 이 신경이 손상되면 치명적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하악의 하치조 신경이다. 이 신경의 위쪽으로 뼈가 많이 남아 있으면 임플란트를 심는데 무리가 없으나 턱뼈가 너무 많이 녹아 하치조 신경과의 거리가 부족하면 임플란트 식립 시 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전에는 CT로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않고 수술하여 많은 위험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CT로 신경과의 거리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이 많이 줄었다. 신중한 치과의사라면 이 거리가 충분하지 않으면 임플란트 식립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의도치 않게 수술 시 환자가 갑자기 움직인다든가, 의사의 숙련도에 따라 위험할 수도 있다. 그래서 수술 전 검사 결과를 철저하게 분석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그리고 치과의사의 풍부한 임상을 통한 정확한 식립으로 이러한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

또, 어려운 케이스의 환자라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수술 중에 CT를 찍어가면서 충분한 확인을 거친 후 수술하는 것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하다. 

임플란트는 뼈에 구멍을 뚫어 심는 것이기 때문에 뼈의 두께, 폭, 깊이, 골질 등이 수술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을 차지한다. 뼈가 단단하면 좋을 것 같아도 지나치게 단단하면 뼈를 뚫는 드릴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 때문에 뼈 안의 세포 특히 혈관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면 임플란트가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임플란트 유착 실패가 올 수도 있다. 반대로 뼈가 너무 없는 경우도 지지할 뼈의 부분이 부족해 유착 실패의 위험이 높다. 턱 아래 앞쪽의 전치부 뼈는 특히 단단하고 두께는 좁고 얇아 수술이 힘든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이처럼 환자마다 상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위험요인이 많은 환자라면 여러 케이스를 다뤄본 경험이 많은 의사라야 안전한 수술로 이끌 수 있다. 

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뼈이식을 하게 되는데 주로 상악에서 뼈이식을 많이 한다. 상악의 구치부는 뼈가 너무 없고 상악의 전치부는 뼈가 너무 얇은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뼈가 부족한 부분을 뼈이식을 통해 보완한다. 임플란트 뼈이식은 뼈가 될 수 있는 가루를 필요한 자리에 넣어주고 인체가 자연적으로 이 가루가 뼈와 결합해 뼈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대부분은 이 과정이 순조롭지만 간혹 뼈와 임플란트가 완전히 붙지 못하고 흔들리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이 경우는 이 과정을 다시 반복해 재식립을 하게 된다. 

임플란트 부작용은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늘 발생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부작용을 예방하고 성공적인 식립을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수술 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검사 결과를 가지고 철저한 분석이 우선되어야 하고 그간의 임상경험을 통해 식립 위치를 정확하게 정해야 한다. 최근에는 식립 위치를 안전하게 가이드해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나와 있어 이를 활용한다면 신경손상 등의 문제가 줄어들어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 또, 수술 후에는 환자가 지켜주어야 할 주의사항들이 많기 때문에 환자와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치료 협조를 받으면 보다 성공적인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백세시대치아솔루션

치아는 치열을 만들고 치열은 얼굴을 변화 시키며, 밝은 표정의 얼굴은 새로운 인생을 만듭니다.
일본 알프스틀니 제작의 풍부한 임상노하우를 가지고 전악치료의 관점에서 오래 사용 할 수 있는 보철을 만들고 있습니다.
알프스치과의 치료가 환자분들의 삶 까지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으로 치료에 정성을 다합니다.

알프스치과의원 /박경아 대표원장
경희대 치과대학 졸업
일본 알프스 틀니 스페셜 코스 수료
토론토 대학 CE 임플란트 과정 수료
워싱턴 대학 치주 임플란트 과정 수료
하버드 대학 임플란트 과정 수료
한국 MEAW 교정 연구회 과정 수료
서울대 치의학교육 연수원 임플란트 과정 수료
한*미 보철 연수회 수료
대한 치과 임플란트 학회 정회원
치주 임플란트 학회 정회원
대한 치과 마취과 학회 정회원
IBS무절개 임플란트 고급과정 수료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