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22누적된 총 기사 -365,823

‘에스트로겐’은 언제, 어떻게 쓰는 약인가요?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박억숭 과장

비뇨-생식계 약물

피임과 폐경 후 호르몬 치료에 주로 사용하는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의 기전과 종류 그리고 치료법, 부작용에 대해 알아본다.

기전과 종류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호르몬으로 주로 여성 생식계의 성장과 이차성징을 담당한다. 물론 뇌, 콩팥, 피부, 혈관 조직의 대사에도 관여한다. 에스트로겐은 혈장 글로불린(globulin), 알부민과 결합하여 옮겨진다. 확산으로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 세포질에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한 후 핵으로 들어간다. 핵에서 특정 RNA를 합성하고 결국, 많은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에스트라디올(estradiol)’은 난소에서 생산, 분비하는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이다. ‘에스트론(estrone)’은 주로 지방조직에서 DHEA 전환으로 생산되는 에스트라디올 대사물로 약 1/3의 효력을 가진다. ‘에스트리올(estriol)’은 에스트라디올의 대사물로 효력은 훨씬 약하다.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ynyl estradiol)’은 합성 에스트로겐으로 경구투여에 효과적인 약물이다.

치료와 부작용
‘에스트로겐’은 피임과 폐경 후 호르몬 치료에 주로 사용한다. 과거에는 골다공증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다른 치료법(biphosphonate)이 권장된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함께 사용하면 피임에 효과가 좋다. 약물은 경구, 경피, 질 경로 등 다양하다. 폐경 후 여성은 안면홍조와 전신 열감 그리고 질 위축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자궁이 있는 여성은 프로게스테론과 병용 투여하고, 자궁이 없다면 에스트로겐 단독 투여가 가능하다. 생식선 기능저하증이 있는 젊은 여성에서 이차성징 발달을 자극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또한, 수술적 폐경이나 조기 난소기능상실로 호르몬이 부족한 여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약물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유방의 압통과 구역(nausea) 등이다. 혈전 색전, 심근경색 그리고 유방암과 자궁내막암의 위험성이 있어 가능한 짧은 기간, 낮은 용량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에스트로겐에 의한 자궁내막암 위험성은 프로게스테론과 병용 투여로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