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3누적된 총 기사 -367,414

대변 색깔이 건강의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을까?

의사에게 듣는 '질환'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박억숭 과장

소화기계질환

‘황금색 변’ ‘새카만 변’ ‘피처럼 붉은 변’…. 예로부터 변의 색은 건강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중요시돼왔다. 과연 ‘변의 색’을 가지고 건강을 판단할 수 있을까?

황금색 변
대변 하면 먼저 ‘소화기계’를 떠올린다. 하지만, 건강한 대변의 황금색은 정작 ‘적혈구’와 관련이 있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만들어져 약 120일 동안 온몸을 돌아다니며 산소를 실어나른다. 늙은 적혈구는 간과 지라에서 다시 탐식, 재활용된다. 낡은 트럭을 폐차장에서 분리, 재활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먼저 철(Fe)을 제외한 헴 분자가 빌리베르딘(biliverdin)을 거쳐 빌리루빈(bilirubin)으로 바뀌어 간에서 담즙(bile)에 섞여 분비된다. 빌리루빈은 장에 존재하는 균 작용으로 ‘유로빌리노겐(urobilinogen)’이 되고, 분변과 함께 배출되면서 변과 소변 색이 황금색을 띠는 것이다.



만약 간 기능이 떨어지거나, 담즙이 흐르는 길을 막는 담도폐쇄(biliary atresia) 및 과도한 용혈(hemolysis)이 있다면,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면서 눈의 공막, 피부가 누렇게 변하는 ‘황달(jaundice)’이 나타날 수 있다.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을 의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은 ‘흑색변(melena)’과 ‘혈변(hematochezia)’이다. 흑색변은 거의 ‘짜장 소스’ 같은 변을 의미한다.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단백질에서 철(Fe) 성분이 ‘위산’을 만나 산화하면 까맣게 보이는 것이다. 이때는 주로 상부-위장관 출혈을 예상할 수 있다. 상부-위장관은 ‘식도, 위, 십이지장’을 생각하면 된다. 상부-위장관 출혈량이 아주 많다면 미처 소화할 시간이 없어, 붉은색의 혈변(hematochezia)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실 혈변의 가장 많은 원인은 ‘치질’과 관련된 항문 질환이다.

변기에 한두 방울의 피만 떨구어도 변기 전체가 붉게 보이므로 흑색변과 혈변의 객관적인 양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가령 “종이컵 몇 개 정도 나왔나요?” 같은 질문이 될 수 있다. 종이컵 한가득은 약 150㎖이다. ‘검은색, 붉은색 변’으로 병원을 방문하면 환자가 얘기하는 정보와 활력징후를 참고하여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운다.

음식과 관련된 대변의 색
보통 대변의 색은 ‘어떤 음식’을 먹었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진다. 다크 초콜릿, 김, 레드 와인, 오징어 먹물 요리, 해장국의 선지 그리고 철분제를 섭취하면 살짝 검은색을 띨 수 있다. 물론 블루베리 같은 까만색 음식도 변의 색을 검게 만들 수 있다. 아침마다 인사하는 나의 창조물이 ‘검은색’ ‘붉은색’이라면 먼저, 뭘 먹었는지부터 생각해 보자! 특별히 먹은 음식에 대한 기억이 없고 자주, 반복적으로 검은색, 또는 붉은색 변이 나온다면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극단적으로 ‘까맣고 빨간 대변’이 나왔다면 그 양을 기억하고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안전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에게 듣는 '질환' 이야기

병리학을 토대로 질병에 대한 이야기를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