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고령화와 경제적인 발달, 및 의료의 접근성 발달 등으로 인하여 무릎의 인공관절 치환술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관절염이 나이가 들면서 어쩔 수 없이 생기고 서서히 악화되기 때문에 치료해도 소용없다고 생각한다. 치료를 해서 젊은 사람의 관절처럼 깨끗하게 완치되지는 않지만 통증이 사라지고 관절의 기능을 보전할 수 있는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퇴행성슬관절염이란?
퇴행성 슬관절염은 관절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슬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일차적으로 관절연골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난다. 병이 진행되면 뼈가 딱딱해지고, 관절 주변에 골의 과잉 형성, 관절의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주로 50세 이후에 많이 발병하며 45세 이전에는 남성이 발생빈도가 여성보다 높으며 55세 이후로는 여성에서 더 높아진다. 위험 인자로는 50세 이상, 관절 외상의 병력, 관절염증, 비만, 말초신경병증, 오랫동안의 직업적이거나 스포츠로 인한 반복적인 스트레스 등이 있다.
◇ 퇴행성 슬관절염의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무릎 통증인데 초기에는 많이 걸을 때에만 통증과 부기가 나타났다가 충분히 쉬면 사라진다. 그러나 더 악화되면 가만히 있을 때도 통증이 나타나고,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 악화되며 운동 시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된다. 아침에 또는 오래 쉬고 있다가 움직일 때 관절이 뻣뻣한 느낌이 오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은 활동을 하면 나아지고 대개 30분을 넘지 않는다. 관절주위를 누르면 통증이 나타나거나 무릎관절 안에 물이 차기도 하고 소리가 나기도 한다. 심한 경우는 관절운동 감소와 다리의 변형이 생겨 활처럼 휘게 되고 더욱 심해지면“O자 다리”가 되고 다리를 절며 더 심해지면 걷지 못하게 된다.
◇ 퇴행성 슬관절염 진단방법
우선 통증의 부위 및 증상을 듣고 나서 간단한 신체검사 및 X-선 검사를 해보면 퇴행성 관절염의 진단이 가능하다. X-선 검사에서 정상 무릎 관절은 내측과 외측의 관절 간격이 동일하다. 관절염이 시작되면 관절 내측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뼈의 돌기가 자라고, 뼈가 딱딱해진다. 관절염 중기에는 관절내측 간격이 완전히 좁아지게 되고 다리가 안쪽으로 휘게 된다. 관절염 말기가 되면 주로 내측 관절이 심하게 파괴되고, 다리가 안쪽으로 휘게 되며, 통증이 심하고 걷기가 힘들어진다.
< 심한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무릎 사진 >
◇ 퇴행성 슬관절염의 치료 방법
▷ 관절의 보호, 운동, 휴식
통증에 시달린 관절을 보호함으로써 통증을 완화하고 휴식을 취하며 손상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다. 관절염 환자에서 운동은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이는 근력이 강화되고, 관절의 운동성과 유연성이 유지되어 강직이 완화되고, 체중이 감소하고, 긍정적인 태도가 생기며,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등의 효과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무리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오히려 관절에 무리가 될 수도 있기 때문 이다. 통증이 악화되고 종창이 생기는 등 어떤 악화의 조짐이 보이면 운동량을 줄이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어떤 자세가 특별히 나쁘다는 것도 비슷한 상황으로, 관절에 통증이 오는 자세는 피하는 것이 좋다.
▷ 약물요법 및 수술적 치료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에 쓰이는 약물 요법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영양 보조제 등을 들 수 있다.이중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용량이 많을 때 위장관 부작용이나 심장병, 뇌혈관 질환의 발생 빈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어 장기간 복용하면 좋지않다. 영양 보조제에는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영양 보조제들은 아직 미국 식품 의약 안전청에서 관절염에 대한 전문 치료약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서 시행 할 수 있는 수술적 치료로 관절경 수술, 교정 절골술, 인공 관절 치환술 등이 있다.
/기고자 : 윌스기념병원 박범용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