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미경 기자]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로 고려대가 수업 일수를 채우지 못한 본과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유급 조치에 나섰다.
대학가에 따르면 고려대는 개강 후 실습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3학년 84명, 4학년 41명 등 총 125명을 대상으로 유급 통보 방식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4일 전체 교수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당초 세운 원칙대로 학생들을 유급하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고려대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간담회에서 의대생 유급 처분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다른 학생과의 형평성 문제도 있어, 학교가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수업 미복귀 학생들에 대한 유급 결정을 시사한 바 있다.
연세대는 7일 수업 참여를 거부한 4학년 본과생 48명에게 유급 통지서를 보냈고, 이날도 본과 1~3학년에 대해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와 연세대 외에도 수업 거부가 이어지는 다른 의대들에서도 유급 결정이 진행 중이다.
통상 대학은 전체 수업 일수의 3분의 1 또는 4분의 1을 이수하지 않으면 유급 처분을 내린다.
고려대와 연세대는 모두 수업 일수의 3분의 1 이상 출석하지 않으면 유급 대상이 되며, 학칙에 근거할 때 다른 대학들도 수업을 거부한 의대생들에 대해 본격적인 유급 절차에 나설 수 있다.
다만 유급이 코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의대생들 사이에서는 수업 복귀보다 수업 거부에 입장이 쏠리고 있다.
문제는 현재까지 본과생들이 유급 대상자이지만, 이와 같은 상황이 예과생들로 확대되면 24·25·26학번 학생들이 수업을 함께 듣는 ‘트리플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예과생들의 수업 거부 의지는 본과생보다 더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들이 학칙을 엄격히 적용하는 가운데 정부는 여전히 수업 참여 여부를 정원 조정의 핵심 기준으로 삼고 있어, 의대 정상화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메디컬투데이
김미경
sallykim011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