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4누적된 총 기사 -366,355

아이스크림과 차가운 주스를 당장 끊어라

사상의학으로 본 알레르기

영동한의원/김남선 원장

어린이에게 절대 주어서는 안 되는 식품이 아이스크림과 차가운주스다. 5살부터 소아백혈병을 앓았던 환자가 있었다. 입호흡 습관을 갖고 있는 이 환자는 아이스크림 중독이어서 따뜻한 물이나 차를 일체 마시지 않았다. 목 안은 새빨갛게 변했고 편도와 폐에 염증이 생겼다. 차가운 음식 중독을 치료하고 유효한 비피더스 원자와 항생물질을 투여한 결과 가래가 줄었다. 차가운 음식을 먹어 몸이 차가워진데다 입호흡을 하면서 가슴이 차가워져 폐, 백혈병 등에 걸렸던 것이다.

1977년 아메리카에서 유아 보츠리누스균증 사건이 일어났다. 벌꿀 속에 보츠리누스의 아포芽胞가 섞여 있던 것을 모르고, 갓난아이에게 먹였던 것이다. 이때 많은 아이들이 원인을 모른 채 사망했다. 이 일을 계기로 미국은 식단을 옛 일본식으로 바꾸고, 모유 수유를 권장했지만, 일본은 반대로 서양식을 선택했다. 최근에는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식품이 많아지고, 부드럽고 씹히는 맛이 부족한 음식이 많아졌다. 영양도 문제지만 평소 씹는 힘이 약해질 수 있다. 이런 식생활의 변화는 우리도 겪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잘못된 식습관이 다양한 면역계 질환의 원인임을 감안한다면 음식 하나에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수 없다.

아이나 어른 모두에게 차가운 음식은 좋지 않다

“우유 한 잔쯤인데 차가워도 괜찮겠지”라고 생각했다면 큰 오산이다. 차가운 음료와 음식을 즐기면 장이 차가워져 아토피가 발생한다. 갓난아이도 체온이 37도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섯 살 때까지 먹이지 말아야 할 음식은 날 것의 벌꿀, 회, 생새우, 생관자, 피너츠버터, 땅콩류, 카레, 소바, 우동, 빵, 차가운 우유, 육회 등이다.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위장이 차가워지면서 면역계가 혼란스러워진다. 0℃ 정도의 찬 음식을 습관적으로 먹는다면 장의 소화 기능이 약화되고 큰 질환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이런 한랭자극은 면역계의 중요한 조혈기관이 있는 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아이들뿐 아니라 일반 어른들 모두에게 차가운 음식은 좋지 않다. 혹시 차가운 음식 중독은 아닌지 체크해 보자.

▶ 찬 음식 중독 체크리스트
□ 아아이스크림이나 셔벗을 자주 먹는다.
□ 차가운 탄산음료나 음료수를 자주 마신다.
□ 편의점에서 김밥이나 음식을 자주 먹는다.
□ 얼음처럼 차가운 맥주가 좋다.
□ 차가운 술이나 스트레이트 잔이 좋다.

위 사항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찬 음식중독증일 가능성이 높다. 차가운 음식으로 인한 한랭자극은 면역계 질환에 큰 타격을 준다. 식후 디저트 음식으로 즐겨 먹는 아이스크림 하나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기고자 : 영동한의원 김남선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상의학으로 본 알레르기

김남선 영동한의원(코알레르기 클리닉) 원장

영동한의원 /김남선 원장
경희대 한의대 한의학과 졸업      
경희대 한의학 대학원 석박사 학위 취득
대한한의사협회 대의원, 일본 동양의학회 위원, 全일본 침구학회 위원
미국 LA의 K-S University 교수
경희대 외래교수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