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 여성이 허리에서 엉치뼈로 이어지는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미끄러운 길에서 무게중심을 엉덩방아를 찧은 뒤 통증이 시작됐다고 했다. MRI 진단 결과 척추압박골절이었다.
척추의 각 마디를 이루는 뼈는 앞기둥, 중간기둥, 뒤기둥으로 형성돼 있다. 골다공증 등으로 인해 약해진 뼈는 작은 압력에도 쉽게 손상을 입는데, 주로 뼈의 앞기둥이 손상된다. 골다공증 등을 이유로 뼈가 약해져 있으면 척추 뼈가 이처럼 손상을 입는다.
골다공증은 골량과 골감도가 감소해 뼈에 구멍이 숭숭 뚫린 것과 같은 양상을 보인다. 우리 병원을 찾는 환자의 60% 이상은 골다공증 탓에 척추압박골절을 입은 60대 이상 여성이다. 골다공증이 있으면 뼈가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골절로 인한 손상이 회복된 뒤에도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요즘과 같이 날씨가 추워 뼈와 근육부가 긴장돼 있고, 낙상의 위험이 큰 시기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척추압박골절을 입은 고령 환자는 수술을 고려하기 어렵다. 수술과 회복에 따르는 부담이 있고 1차질환을 이미 갖고 있는 경우 약물 처방에도 제약을 받기 때문이다. 국소 마취 후 골절 부위에 구멍을 내고 골강화제와 시멘트를 주입하는 척추성형술은 통증이 적고 전신 마취에 대한 부담이 적어 고령의 척추압박골절 환자 치료에 쓰인다. 골절을 치료함과 동시에 강화제로 뼈 자체를 단단하게 만들기 때문에 재발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척추성형술은 척추 골절 1개 치료에 20~30분 정도만 걸리고 보통 시술 당일 혹은 이튿날 걸을 수 있을 정도로 회복 시간이 짧다.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바늘이 삽입될 정도의 구멍만 내기 때문에 출혈로 혈압이 떨어질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척추압박골절은 단순 방사선 촬영 영상(X-Ray) 만으로는 발견이 어렵다. 방치했을 때 척추후만증 등 만성 척추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고령의 환자는 골절에 따른 통증으로 허리가 구부러진 자세를 장기간 유지함에 따라 또 다시 골절에 노출될 수도 있다. 통증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에 근거한 치료법을 모색해야 한다.
/기고자 : 김영수병원 김영수병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