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메디칼업저버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국내 연구팀이 당뇨병 환자가 심방세동이 있으면 당뇨병 관련 합병증인 심혈관질환, 당뇨병성 신질환, 당뇨발의 발생 위험이 10%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당뇨발의 악화로 인한 하지절단 위험은 4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 당뇨 환자들은 심방세동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최의근·이소령·권순일(순환기내과) 교수 및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30세 이상 당뇨 환자 6만7530명을 대상으로 심방세동 유무에 따른 당뇨 관련 합병증 발병 위험을 비교했다.
연구팀은 2009년~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당뇨 환자를 심방세동 여부에 따라 나누고, 당뇨병 관련 합병증(심혈관질환, 당뇨병성 신질환 및 망막질환, 당뇨발) 발생 위험을 중앙값 7.6년간 추적 관찰했다.
심방세동 시 저혈류가 영향 미치는 것으로 분석
그 결과, 심방세동 있는 당뇨병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심혈관질환, 당뇨병성 신질환, 당뇨발 발생 위험이 각각 12%, 23%, 13% 증가했다. 당뇨병성 망막질환은 심방세동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
- 심방세동 여부에 따른 당뇨 환자의 합병증 발생 곡선.
특히 당뇨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발생하면 당뇨발에 의한 하지절단 위험이 4.1배로 크게 높았다.
이 결과는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심방세동이 당뇨병의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심방세동이 있으면 심방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해 혈류의 저류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혈전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어 동맥 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영향이 당뇨병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해석이다.
-
- 심방세동 여부에 따른 당뇨 환자의 합병증 발생 위험 비교
나아가 이 결과는 대규모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다른 심혈관질환의 요인을 배제하고 심방세동이 독립적으로 당뇨병 관련 합병증 위험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줘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
- 서울대병원 최의근, 이소령, 권순일, 숭실대 한경도 교수(사진 왼쪽부터)
최의근 교수는 "연구를 통해 당뇨병 관련 합병증에 미치는 심방세동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당뇨병 환자에서 심방세동이 발생할 경우, 합병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 관리와 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저명한 당뇨학회지 "Diabetes Care(당뇨병 관리 )"에 게재됐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sunjaepark@mo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