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에는 햇빛이 줄어들게 되어 멜라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저하되면서 신체리듬이 깨어져 우울증이 유발되기 쉬워진다. 멜라토닌은 뇌 속의 송과선이라는 부위에서 밤에 집중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장마철에는 일상에서 수면시간을 조절해 신체리듬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전날 취침시간과 관계없이 기상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내는 최대한 밝게 하고 실내에서 할 수 있는 가벼운 스트레칭을 반복하는 것도 숙면과 장마철 우울증 극복에 도움을 준다.
사실, 아침에 해를 일찍 보느냐에 따라 숙면의 정도도 달라진다. 우리의 뇌 신경에는 식사, 수면 등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생체시계가 있다. 이 생체시계는 빛에 의해 조절된다. 여름에 해가 긴 북유럽을 여행할 때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생체시계에 혼란이 오면 1~2시간 덜 자는 것보다 건강에 더 나쁘다. 아침에 빛을 보지 않으면 진짜 일어나는 것이 아니므로 해가 뜨지 않는 장마철에는 햇빛 대신 형광등이나 스탠드를 켜 빛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장마 기간에 오는 무덥고 습한 공기는 숙면의 적이다. 더워서 잠이 안 온다고 찬물로 목욕하는 것은 금물이다. 당장은 시원하겠지만 피부 혈관이 한때 수축했다 팽창하면서 체온이 더 올라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충분한 수면은 장마철 건강의 필수조건이다. 몇 시간을 자야 충분한 수면을 취했다고 할 수 있을까? 장마 기간에는 더 많은 잠을 자야 할까? 이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이란 정확히 몇 시간이라고 정해진 것은 없다. 중요한 것은 "수면의 시간인 양보다 1시간을 자더라도 내가 잘 잤느냐 하는 질"이다.
/기고자 : 서울스페셜수면의원 한진규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