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은 전방 십자인대, 후방 십자인대, 내ㆍ외측 측부 인대로 이루어져 있다. 인대는 관절에 안정성을 주고 올바르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인대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되는 것을 인대파열이라고 하는데, 십자인대 파열은 무릎 부상 중에서 가장 흔한 것 중의 하나다.
무릎 십자인대는 무릎관절 허벅지뼈와 정강이뼈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인대가 십자모양이라고 해서 그렇게 불린다. 앞쪽에 위치한 인대를 전방십자인대, 뒤쪽에 위치한 인대는 후방십자인대라고 한다.
보통 무릎 십지인대는 야구, 축구, 농구처럼 격렬한 스포츠를 할 때 많이 생긴다. 십자인대가 파열될 때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는데, 파열 후에는 자유롭게 다리를 구부리고 펴는 게 어려워 걷는 것 자체가 힘들어진다. 무릎이 붓고 통증이 생기며 움직일 때 무릎이 뻣뻣한 느낌이 든다. 무릎 십자인대 파열은 통증과 붓는 증상이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다른 부위의 인대나 반월상 연골도 파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 무릎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환자의 상태와 파열 정도, 다른 질환의 동반 여부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다양한 치료법을 시행한다.
무릎 십자인대파열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약물치료, 근력강화 운동치료 등의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면 된다. 하지만 파열 정도가 심하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인대 부위에 다른 인대를 가져와 재건하는 방법인데, 다른 사람의 인대를 이용하거나 자신의 힘줄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무릎 십자인대 파열을 완치하기 위해서는 비수술과 수술 치료가 끝나고 나서도 꾸준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환자가 끈기를 가지고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는 뜻이다.
/기고자 : 본브릿지병원 정종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