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94누적된 총 기사 -367,413

컴퓨터하면 손이 아파요. 카팔 터널 신드롬(carpal tunnel syndrome)이란?

건강을 지키는 '김영수병원'의 건강한 칼럼

김영수병원/김영수 병원장

32세 의상디자이너가 일만하면 손과 손목이 저리고 아프다고 내원하였다.
손이 저려 손을 자주 턴다고 하고 손목이 아프면서 엄지, 검지, 중지까지 저리다고 하였다. 감각도 무뎌지고 남의 살 같아진다고 하였고 최근에 엄지 쪽으로 근육이 빠지는 것 같아 목 디스크 인줄 알고 정밀검사를 해보았으나 목에는 이상 없었다고 했다. 

이러한 질병은 카팔 터널 신드롬, 손목 터널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이라 말하며 손목으로 들어가는 통로가 좁아지거나 압력이 높아져 여기를 지나가는 정중 신경(median nerve)이 손상되어 손바닥과 손가락이 저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손목을 굽히거나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호발하며 음식점 조리사, 아스팔트 공사자, 장시간 컴퓨터 하는 직장인,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 외과의사, 주부, 군인 등 다양한 군에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여성, 당뇨병 환자, 노인,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사진 : 헬스조선 DB

                               

손목이 아프며 엄지부터 중지까지 저리거나 통증이 지속된다. 심한 경우 엄지 손가락 근육이 말라보이는 위축이 생길 수도 있다. 자가로 진단하는 방법은 양 손등을 마주하고 90도로 굽힌 상태로 1분 정도 있어보면 저린 증상이 나타나고 손목의 중앙 부위를 손가락으로 두드릴 때 통증이 생긴다면 이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 방법이 있는데 내시경을 사용하여 좁아진 손목 부위를 넓혀주는 방법이 있고 수술 후 일정시간 동안 안정을 취해야 좋은 결과를 얻는다. 비수술적 방법으로는 근육을 풀어주고 인대를 재생하게 만드는 인대강화주사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이 질환은 팔에서 생기는 말초신경 질환 중 가장 흔한 병으로 최근 컴퓨터 사용이 많아지면서 직장인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손목이 과도하게 꺾이게 되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게 될 경우 손목 터널 증후군이 생길 수 있으니 본인의 손목과 앉는 자세에 맞게 키보드 높이를 조절하고 손목 받침대 혹은 낮은 키보드를 사용하여 손목 꺾임을 줄이고 마우스 사용이 피곤하거나 힘들면 손목 마우스로 손목 꺾임을 방지하도록 권유한다.

최근 손목이 계속 아프면서 손가락 저림이 생긴다면 스트레칭을 자주 하며 뭉친 근육을 풀어주고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전문의 진찰 및 치료를 받길 권한다. 이보다 앞서서는 내가 손목을 과하게 사용하고 혹사시키는지 살펴보고 바꿀 수 있는 물건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바꿔서 내 몸에 무리가 되지 않게끔 노력하는 것이 손목 터널 증후군을 예방 할 수 있다.


/기고자 : 김영수병원 김도형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건강을 지키는 '김영수병원'의 건강한 칼럼

척추‧관절‧통증의 건강지식을 독자의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게 담았습니다.

김영수병원 /김영수 병원장
<김영수 병원장>
김영수 병원장(신경외과 전문의)
<학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석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경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국립암센터 이사장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명예회장
Asia Pacific Spinal Neurosurgery Society(APSNS) 아태 척추신경외과학회 초대명예회장
세계척추학회 상임이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 주임교수
영동세브란스병원 척추센터 소장
국제신경손상학회 회장
대한신경외과 학회 이사장
한일 척추신경외과학회 회장
국제체열학회 회장
대한체열의학회 회장
대한신경통증학회 회장
대한 척추신경외과학회 명예회장
제 17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자문위원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