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출의 계절이다. 노출의 계절답게 사람들은 가벼운 옷차림에 샌들, 슬리퍼 같은 신발을 신고 다닌다. 그런데 평소 무심했던 발 관리로 각질이 허옇게 일어나고 뒤꿈치가 쩍쩍 갈라져 있다면 당당하게 샌들을 신을 수 있을까?
발뒤꿈치가 두꺼워지고 심한 경우 마른 논바닥처럼 갈라지는 증상을 발뒤꿈치의 ‘각화증’이라 한다. 발각화증이 생기는 이유는 건조, 진균감염, 손발바닥각질피부증 등 다양하다. 흔한 원인은 수분 부족 때문이다. 우리 피부의 제일 바깥쪽인 각질층은 건강한 피부에서는 충분한 수분을 머금고 있어 부드럽고 촉촉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수분이 소실되면 금방 건조해진다. 발은 얼굴과 달리 피지선이 없어 쉽게 건조해지고 두꺼운 각질이 생기게 된다. 게다가 우리 몸을 지탱하고 보행할 때 반복적으로 물리적 자극을 받으면 쌓인 각질층이 굳은살처럼 두꺼워진다. 또 다른 원인으로 진균 감염인 무좀의 한 형태로도 나타난다. 발바닥 전체에 걸쳐 정상피부색의 각질이 두꺼워지면서 긁으면 고운 가루처럼 떨어지는 경우 피부과전문의를 찾아 무좀균 검사를 한 후 무좀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름철 흔히 보는 각화증은 건조함 때문이다. 발바닥의 각질을 없애기 위해 목욕탕에서 발뒤꿈치를 피가 나도록 문지르거나 무심결에 각질을 손톱으로 뜯어내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키는 행동이다. 이런 행동은 정상 부위까지 제거해 피부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 세균에 감염되면 더 치료가 어려워진다. 또 이런 자극은 각질층을 더 두껍게 만든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억지로 각질을 제거하면 일시적으로 좋아질 수는 있지만, 각질은 제거한 만큼 더 생겨 다시 같은 상황으로 되어버린다.
각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발 관리를 해야 한다. 하얗게 일어난 각질은 제거하지 않고 각질용해성분이 들어있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지속적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주면 각질이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 보이는 각질을 굳이 제거하고 싶다면 발을 완전히 건조한 상태에서 제거하는 것이 좋다. 보통 발을 씻으면서 물에 불린 상태에서 각질을 제거하는데, 이 경우 정상세포도 함께 뜯겨져 각질을 계속 만들고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갈라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을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완전히 말린 다음 눈에 띄는 각질을 제거하고 피가 날 정도로 뜯어내는 것은 금물이다.
각질을 제거한 후에는 보습에 신경 써야 한다. 뜨거운 물로 목욕이나 족욕을 하게 되면 오히려 수분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삼가야 한다. 35~40도 정도의 물을 발목까지 잠기도록 해 아로마 오일 한 두 방울을 넣고 10분 정도 족욕을 하는 것이 좋다. 족욕 후 발에 크림을 발라 충분한 영양과 유수분을 공급해준다. 두꺼운 각질을 녹이는 성분으로 유레아와 살리실산 등이 주로 사용된다. 유레아는 농도가 10% 미만에서는 보습효과를 보이고 10% 이상에서는 각질 융해효과를 보여 두꺼워진 각질 제거에 효과적이다. 풋크림을 쓰는 것도 좋고, 발 전용 크림이 아니더라도 집에 있는 바셀린 크림을 사용해도 좋다. 이때 보습과 함께 발 마사지를 하면 수분 공급과 동시에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에 효과적이다.
여름철, 당당히 샌들을 신기 위해서는 발 관리가 그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