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문가 10인 의견 들어보니…

'콜레스테롤이 심장병 위험을 높이지 않으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스타틴 약을 복용할 필요도 없다'는 시나트라 박사의 주장에 대해 국내 지질(脂質) 전문가 10인의 의견을 들어봤다. 시나트라의 의견에 100% 공감하는 전문가도, 100% 반대하는 전문가도 있었지만 대체로 쟁점별로 일부 동의, 일부 반대하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콜레스테롤이 심장병 발병과 관계가 없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관계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관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더 많다"고 다수의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심장병 환자 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지 않은 환자가 절반 가까이 되므로 콜레스테롤과 상관 관계가 있지만 절대적이진 않다는 의견도 있었다.
'콜레스테롤 약' 스타틴의 부작용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인정했으나 부작용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선 전문가마다 의견이 조금씩 달랐다. "절대 복용해선 안 된다"와 "예방 목적으로도 복용할 수 있다"는 양 극단의 의견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꼭 필요한 경우에 스타틴을 처방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A형 LDL'과 'B형 LDL'을 구분해야 하며, 중성지방이 낮고 HDL이 높으면 LDL이 높아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시나트라 박사의 의견에는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했다. 그러나 중성지방과 HDL 수치와 상관없이 전체 LDL만으로도 독립적인 심장병 발병의 지표가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조경현 영남대 생명공학부 교수
시나트라 박사의 의견에 100% 동의한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수십 년간 잘못된 믿음은 심각한 상황이다.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심장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안셀키즈의 1953년 연구는 아직도 객관성을 의심 받고 있다. 요즘엔 콜레스테롤보다 염증이나 스트레스가 심장병의 원인으로 더 주목 받고 있다.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지난 20년 동안 100개 이상의 대규모 임상연구 결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아주 높은 사람은 물론이고 보통 사람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면 노화 과정에 동반되는 혈관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LDL 중에서도 B형이 동맥경화증을 악화시키는 주범은 맞지만 A형 LDL이 전혀 무해한 것인지는 확실히 검증된 바 없다. 또한 지중해식 식사가 A형 LDL을 높여 심혈관 질환을 예방한다는 것은 증명되지 않았다.
▷신현종 제네신의학연구소장(미국계 제약회사 MMD 코리아 前 대표)
콜레스테롤이 결코 해롭지 않다는 시나트라 박사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지난 달 미국식품의약국(FDA)은 그가 지적한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무용론의 대상 약물인 스타틴 제제의 부작용에 기억 장애와 당뇨병 유발 위험성을 추가했다. 1960년대에 나온 ‘1세대 콜레스테롤 약’은 총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강력한 약물이었다. 1980년대는 LDL은 낮추고 HDL은 올려줘야 한다는 이론에 의해 약은 스타틴 계열로 대체됐다. B형 LDL만 낮추는 ‘3세대 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체는 생존을 위해 환경에 대처하는 유전자가 작동한다. 콜레스테롤이 위험하다면 우선 섭생과 운동 그리고 스트레스 여부를 파악해 조절해야 한다. 그러고도 안되면 적절한 약물 처방이 이뤄져야 한다.
▷노태호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혈관 질환 사망률도 낮추지만 이를 맹신해선 안 된다. 미국 FDA는 스타틴이 인지기능 저하와 당뇨병 발생 위험이 있다는 경고 문구를 표기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심혈관 질환이 극도로 위험한 사람이 아니라면 당뇨병·근육병·인지기능 장애 등이 있는 경우 스타틴 섭취를 재고해야 한다. 심혈관 질환이 없는데도 예방 목적으로 스타틴을 복용해선 안 된다.
▷유형준 한림대강남성심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예전엔 콜레스테롤 유해론과 관련된 논란이 많았지만 1994년 이후 발표된 연구들은 한결같이 ‘스타틴으로 LDL을 감소시키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는 결론을 보이고 있다. 스타틴 자체의 부작용은 드물며, 오히려 다른 약물과 반응해 생기는 부작용을 더 주의해야 한다.
▷안철우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스타틴이 근육 염증, 성욕 감퇴, 우울증 등을 일으키고 최근에는 당뇨병 위험도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왔다. 따라서 스타틴의 이점과 부작용 위험성을 고려한 치료 전략을 짜야 한다.
▷최성희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A형 LDL과 B형 LDL을 구분하는 전기영동 검사는 대부분의 대형 병원에서 할 수 있다. 이 검사로 B형 LDL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보고 스타틴을 처방하면 불필요한 투약을 예방할 수 있다. 스타틴이 뇌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논문이 몇 편 나왔지만 그 가능성은 작다. 최근에는 뇌출혈보다 뇌경색의 빈도가 더 높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타틴을 꼭 써야 한다.
▷한기훈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교수
스타틴은 주로 간에서 작용하므로 세포막이나 호르몬 생성 기능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실제로 스타틴으로 LDL을 심지어 40㎎/㎗까지 낮춰도 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어떤 의사도 정상인이나 이미 심부전·신부전·간부전 등이 많이 진행된 사람에게 스타틴을 처방하지는 않는다. 동맥경화증이 심하거나 당뇨병이 있는 등 적신호가 켜진 경우에만 스타틴 제제를 처방한다.
▷김병옥 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교수
동맥경화증과 심장병은 LDL 하나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나이·고혈압·흡연·가족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스타틴뿐 아니라 금연, 운동, 식이요법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B형 LDL이 심장병의 원인인 것은 맞지만 B형 LDL을 낮춰도 심장병 예방이 안 된다는 보고 역시 많다. 스타틴은 부작용이 있지만 심장병 고위험군에서는 효과가 있다.
▷김수중 경희대병원 심장내과 교수
시나트라 박사의 의견 중 일부는 맞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의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러나 LDL이 과도하면 동맥경화증과 심장병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은 다 밝혀져 있다. 중성지방이 낮고 HDL이 높으면 덜 해로운 A형 LDL이 많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A형이나 B형을 따지지 않고 단순한 LDL 수치만으로도 심혈관계 위험을 예측하는 독립적 지표가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