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먹는 여성 사진](https://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20/09/21/2020092100936_0.jpg)
독감 치료제로 유명한 '타미플루'가 자살 등 신경정신과적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우려가 일본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제기돼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연구팀이 타미플루가 자살과 신경정신과적 합병증을 늘리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가천대 길병원 인공지능 빅데이터 센터 정재훈 교수(예방의학과 전문의)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허경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인플루엔자를 진단받은 사람 335만 명을 분석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는 인플루엔자를 진단받은 환자 335만2015명 중 타미플루를 처방받은 군(126만6780명, 37.8%)과 타미플루를 처방받지 않은 군(208만5235명, 62.2%)을 대상으로 조사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대상자들의 자살, 자살시도와 같은 심각한 신경정신과적 부작용과 섬망, 환시, 불안과 같은 중증도 부작용의 발생률을 추적 조사했다.
연구 결과, 타미플루 투약 후 30일 이내 신경정신과적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은 타미플루 처방받은 군이 0.86%(1만913명), 처방받지 않은 군은 1.16%(2만4286명)이었다. 타미플루를 처방받은 군이 오히려 부작용 위험이 더 적었던 것이다. 특히 자살이나 자살 시도와 관련된 부작용은 타미플루를 처방받은 군에서는 10만 명당 4명 수준이었지만, 처방받지 않은 군은 10만 명당 7명 수준이었다.
정재훈 교수는 “기존에 보고됐던 타미플루로 인한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자살 등의 부작용의 발생 근거가 미약함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대부분의 인구집단에서 타미플루는 인플루엔자로 인한 신경정신과적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줄여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청소년기 인플루엔자 환자에서는 완전히 우려가 해소된 것은 아니며, 반드시 주의 깊게 타미플루를 사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감염학계의 세계적인 권위적인 학술지 'Clinical Infectious Diseases'에 최근 게재됐다.
![헬스케어N](https://health.chosun.com/img/2023/healthn.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