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아나필락시스 발생, 응급처치법은?

입력 2021.05.11 21:00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는 심각한 경우 수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나필락시스란 주사제를 포함한 각종 약물, 음식, 곤충 독 등 알레르기 원인 물질에 노출되고 나서 갑작스럽게 전신에 심각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중증 알레르기 증상에 속하는 아나필락시스는 치료시기를 놓치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났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가벼운 증상에서 치명적인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심각한 경우, 수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 원인에 노출된 지 15분 이내에 나타나며, 6시간 이내에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피부 등 거의 전신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생기면 두드러기, 눈과 입 부종, 발진, 가려움증 등 피부·점막 증상과 호흡곤란, 기침, 쌕쌕거림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또한 복통, 구토, 설사 등 소화기 증상과 청색증, 실신, 혈압 저하 등 심혈관·신경 증상도 발생한다.

◇증상 있다면 즉시 에피네프린 사용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119를 호출해 에피네프린(젝스트)을 투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만일 자가주사제 에피네프린이 있다면 즉시 투약해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응급치료에서는 에피네프린의 빠른 투약이 매우 중요하다.

자가주사제 에피네프린이 있다면, 에피네프린 주사는 주사기 끝을 허벅지 바깥쪽에 직각으로 대고, '딸각' 소리가 날 때까지 주사하면 된다.  주사 후에도 상태가 좋아지지 않으면 5~10분 후 에피네프린을 한 번 더 주사할 수 있다.

자가주사제가 없이 119를 기다리는 상황이라면, 우선 환자가 원인 물질에 계속 노출되지 않게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다음 편평한 곳에 환자를 눕혀 의식, 맥박, 호흡을 확인하며, 기도를 확보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전신성 반응이 나타난다면 즉시 심폐소생술 등 필요한 응급조치를 시행하면서 신속히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