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가 피를 빠는 이유는? 모기 물리면 가려운 이유는?

입력 2014.06.09 14:20

모기가 피를 빠는 이유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다. 학계 연구된 바에 따르면 모기가 피를 빠는 이유는 번식과 관련이 있는데, 피를 빠는 암컷모기는 산란기에 자신의 난자를 성숙시키기 위해 이러한 행동을 한다. 사람이나 동물의 피에 철분, 단백질이 풍부해 난자를 성숙시키는데 중요한 영양소가 되기 때문이다. 수컷모기는 난자가 없기 때문에 피를 빨지 않으며 꽃의 꿀, 나무의 수액, 이슬 등을 먹고 산다.

모기가 피를 빨고 있다
사진=조선일보 DB

모기에 물린 후 가려움을 느끼는 것은 모기가 물 때 독소들이 몸속으로 침투해 일종의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모기에 물렸을 때는 즉시 독소가 퍼져나가지 않도록 얼음이나 찬물을 사용해 피부 및 피하 혈관을 수축시키는 것이 좋다. 물린 부위를 긁는 것은 독소를 주위 조직으로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삼간다. 또 물린 부위에 침을 바르면 입 속에 있는 세균에 감염되어 봉소직염(봉와직염)에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한다.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서는 주변에 습한 환경을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집 근처에 웅덩이를 제거하거나 집 안의 싱크대, 화장실 등 물기가 많은 곳을 마른 수건으로 닦아 건조하게 유지한다. 모기는 푸른색, 보라색, 검은색 등 진한 색을 선호하므로 밝은 색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땀을 흘렸을 때는 곧장 샤워를 해 모기가 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伊숋옙�대き占쎄퀣占쏙옙�곗굻占쎌닂�숋옙關援�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占쎌쥙�ο옙�먯삕占쎌슜�삣뜝�숈삕占쎌쥙猷욑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