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60누적된 총 기사 -365,449

'항생제 의사'들의 무책임한 변명

임호준기자의 헬스편집실

헬스조선/임호준 대표

감기는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이며,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약이다. 따라서 단순 감기에는 항생제를 쓰지 말아야 한다. 감기로 인한 세균성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폐렴 등 합병증이 생긴 경우에만 항생제를 쓸 수 있다. 이것은 의사의 기본이다.

지난 주, 감기 환자에 대한 의료기관별 항생제 처방률이 공개됐다. 의사들은 “병의 경중(輕重)이나 환자 특성을 가리지 않고 일방적으로 처방률을 발표해 ‘여론몰이’를 했다”고 불만이 대단하다. “오랜 진료 경험에서 비롯된 처방 노하우를 인정해야 한다”는 반응도 튀어 나왔다.

90%, 심지어 99%의 감기 환자에게 항생제를 쓰는 의사들도 이렇게 할 말이 있는 것일까? 그들의 변명은 도대체 무엇일까?

‘항생제 의사’들은 이구동성(異口同聲)으로 “단순 감기가 아니라 세균성 합병증이 생겼거나 생길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에 항생제를 썼다”고 말한다. 문제의 핵심은 그들이 주장하는 항생제의 세균 합병증 예방 효과다. 많은 의사들이 항생제를 쓰면 실제로 합병증이 덜 생긴다고 믿으며, 이 믿음이 지나치면 “감기는 아예 처음부터 항생제를 써야 한다”로 발전한다. 이렇게 공공연히 말하는 의사들도 실제로 많다. 그러나 이는 자신의 무책임과 실력 없음을 고백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항생제를 쓴다고 세균성 합병증이 예방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들이 예방된다고 믿는 이유는 그들이 ‘절반의 가능성’에 근거해 ‘밑져야 본전’식으로 항생제를 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세균성 부비동염이 걸리면 누런 콧물이 나오지만, 누런 콧물이 나온다고 모두 항생제가 필요한 세균성 부비동염은 아니다. 또 세균성 인후염의 초기 증상은 단순 감기와 비슷해서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렇게 미묘한 차이를 구분할 경험도, 능력도 없는 의사들이 “일단 쓰고 보자”는 식으로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최소한 항생제를 써야 할 때를 놓쳐서 생기는 합병증은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의사로선 손해 보지 않는다. 우리나라 항생제 내성률이 세계 최고인 이유가 이처럼 ‘밑져야 본전’식으로 항생제를 처방하는 의사들에게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환자들도 문제는 있다. 감기는 시간이 경과해야 낫는 병이다. 그러나 많은 환자가 조급해 하며 주사제(항생제) 처방을 원하고 있으며, 이런 의사들만 “실력 있다”고 입 소문 내고 다닌다. “선무당이 아는 척하고 나서니 항생제를 쓸 수 밖에 없다”고 의사들이 변명할 수 있도록 핑곗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임호준기자 hjlim@chosun.com

         <관련서적 안내>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임호준기자의 헬스편집실

우리나라 100대 홈페이지로 선정된 인기블로그, 헬스조선 대표컬럼으로 새롭게 꾸며집니다.

헬스조선 /임호준 대표
현 조선일보 헬스편집장
현 헬스조선 대표이사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