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6누적된 총 기사 -366,577

장마철, 피부질환 주의!!

최광호 원장의 뷰티 가이드

초이스피부과/최광호 원장

장마철의 평균 습도는 80~90%로 이는 사람이 가장 쾌적하게 여기는 습도인 30~40%보다 약 2배에 달하는 수치다. 장마철은 산성비와 고온 다습한 환경 때문에 각종 세균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가장 빈번해지는 시기다. 특히 세균으로 인한 질환들은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경우가 흔하고, 전염성인 경우도 많아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수해 등으로 인해 빗물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됐을 때 가장 유의해야 할 피부질환이 바로 ‘접촉성 피부염’이다. 빗물에 녹아있는 세균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에 직접 닿아 피부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질환은 피부가 따갑고 가려우며 반점이 생기고 부풀어 오른다. 상처 부위에 닿으면 염증을 발생시키는 상처 감염증세도 일으킨다.

세균 중에서도 황색포도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 ‘농가진’은 장마철 어린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 질환이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이 있을 때 잘 생기고, 코를 심하게 풀어 헐어 있거나 벌레에 물려 상처가 난 자리 등에 쉽게 발생한다. 이 질환에 걸리면 피부 여기저기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물집이 생긴다. 물집 속에는 노란 고름이 잡히며 부스럼도 생긴다. 처음 물집이 잡혔을 때 긁지 못하게 해야 전염을 막을 수 있고, 의사 처방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평소 손을 잘 씻기고 생활 환경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땀띠’도 어린이들에게 주로 생긴다. 땀띠는 땀구멍이 막혀 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생기는 염증인데, 습한 장마철에는 더욱 증상이 심해진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건조하게 해줘야 한다. 따뜻한 물에 자극이 적은 비누를 사용하여 10분 전후의 목욕을 시킨 뒤에는 물기를 깨끗이 제거하고 살이 겹치는 부분에 파우더를 발라주면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땀띠가 생겼다면 오히려 땀구멍을 더 막아버려서 상황을 악화시키는 주범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잠을 잘 때 땀을 많이 흘리는 부위인 목 뒤나 머리, 등에 생기기 쉬워 베개에 수건을 깔아두고 축축해지기 이전에 자주 갈아주는 게 좋다.

여름철에는 매일 생성된 피지와 땀 등으로 두피와 피부가 노폐물로 오염되어 있다. 특히 후텁지근한 장마철에는 머리의 모공이 넓어지면서 기름기와 각질이 많아지고, 비듬 균인 말라세시아 등의 세균도 보다 쉽게 성장하고 번식한다. 장마철 산성비는 모발이 자라는 모낭 입구를 막아 피지 배출을 어렵게 해 비듬을 유발하는데 심하면 탈모까지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비에 노출된 피부와 두피는 그 즉시 씻어주는 것이 가장 좋은데 바로 씻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타월로라도 빗물을 닦아주는 것이 좋다. 머리를 감을 때도 손끝으로 두피 구석구석을 마사지 하듯 샴푸한 후 반드시 드라이어로 말려주어야 박테리아 균과 비듬 균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 너무 뜨거운 물은 두피와 모발을 건조하게 하고 차가운 물은 기름기나 미세먼지를 깨끗이 씻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미지근한 물로 머리를 감도록 한다.

장마철 위생 관리법
1. 한번씩 낮은 온도로 난방기를 틀어 집안의 습기를 제거하고, 장롱과 신발장에는 제습제를 넣어 옷과 신발에 습기가 베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다.
2. 물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욕실과 주방, 싱크대 등은 소독이 되는 소다나 왁스를 물에 풀어 수시로 청소한다.
3. 눅눅한 침구와 방석, 쿠션 등은 잠시라도 해가 나는 날엔 4~5시간 정도 말려준다.
4. 공기 정화 기능이 있는 관엽식물이 실내 습도를 높이는 작용도 하므로 장마가 지날 때까지 베란다로 내놓는다.
5. 속옷과 겉옷은 땀 흡수와 통풍이 잘 되는 옷으로 입고, 손은 자주 씻고 샤워는 매일 하도록 한다.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최광호 원장의 뷰티 가이드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이 전하는 아름다움을 향한 가이드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
△초이스피부과 대표원장
△한양의대 외래교수/의학박사
△대한피부과 의사회 부회장
△대한 피부과학회 정회원
△미국 피부과학회(AAD) 정회원
△대한 레이저 의학회 정회원
△대한 피부과학회 레이저분과 위원회 위원
△미국 레이저학회(ASLMS) 정회원
△대한 피부미용외과학회 이사
△국제 피부미용외과학회(ISDS) 정회원
△저서: 있어도 고민 없어도 고민 털 클리닉
피부는 몸의 거울이다
인터넷 명의
최광호 박사의 초이스, 여드름 탈출
피부와 피부미용
주름과의 전쟁-링클큐어(번역)
백반증에 대해 알고 싶은 56가지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