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7,414

척추측만증 환자 10명 중 4명 ‘청소년’… 겨울방학 맞아 조기 검진 필요

김기택 명예원장이 전하는 척추 건강의 모든 것!

동탄시티병원/김기택 명예원장

겨울방학은 자녀들의 척추 건강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때다. 종일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들의 올바르고 균형 잡힌 자세는 바른 성장과 집중력 향상, 피로 해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청소년기 흔히 발생하는 척추측만증은 단순히 척추가 휘는 문제로 끝나지 않고, 신체 균형과 건강, 그리고 학업에도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의 정상적인 척추는 정면에 보았을 때 일자로 곧게 뻗어있고, 옆에서 보면 목뼈와 허리뼈는 앞으로 굽은 전만을, 등뼈는 뒤로 굽은 후만을 보이며 원만한 S자 곡선을 이룬다. 그러나 척추측만증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척추가 C자 또는 S자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를 말하며, 이는 단순히 2차원적 변형이 아니라 척추체의 회전 변형을 동반하여 3차원적인 변형도 함께 나타난다.

척추측만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척추 기형으로 인한 선천성 척추측만증, 소아마비나 근육 질환으로 인한 신경근육성 척추측만증 등이 있지만, 가장 흔한 형태는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척추측만증으로 전체 척추측만증 환자의 약 85~90%를 차지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년 자료에 따르면, 척추측만증으로 진료받은 전체 환자 9만4845명 중 41.6%가 10대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척추측만증 환자 10명 중 4명이 청소년인 셈이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성장과 함께 척추의 만곡과 회전 변형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는 신체 불균형을 초래하고 성장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체형 변화로 인한 성장 부진, 통증, 학업 능력 저하, 심리적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에는 요통이나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다.

척추측만증 초기에는 통증이나 심각한 비대칭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골반 높이 차이, 가슴 비대칭, 어깨높이 차이, 갈비뼈 돌출 등 외형적인 변화로 의심해 볼 수 있다. 간단한 자가 진단법으로는 허리를 90도로 숙이고 양팔을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뒤에서 봤을 때 양쪽 등이 비대칭적으로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다.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각도와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척추의 만곡이 20도 미만인 경우 3~6개월마다 정기적인 관찰을 통해 상태를 확인한다. 만곡의 각도가 20~40도인 경우 보조기 착용을 통해 척추가 더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보조기를 착용과 함께 재활 치료를 병행하여 자세 교정과 운동 기능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척추 만곡이 45도 이상이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금속 나사와 봉을 이용해 척추를 바르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환자의 나이, 만곡 정도, 성장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시행된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척추측만증은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조기 발견과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겨울방학은 수능을 마친 고등학교 3학년 학생과 성장기 자녀의 척추 건강을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만약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고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기를 권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김기택 명예원장이 전하는 척추 건강의 모든 것!

국내외 척추 치료 권위자 김기택 명예원장이 전하는 척추 건강의 모든 것.
다양한 척추 질환에 대한 명쾌한 해설과 최적의 치료법, 효과적인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척추 건강을 위한 올바른 길, 함께 하겠습니다.

동탄시티병원 /김기택 명예원장
학력
경희대학교 의학박사
경희대학교 의학석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경력
경희대학교 의무부총장
경희대학교 의료원장
경희의료원 원장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원장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협진진료처장 역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기획진료부원장 역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장 역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척추센터장 역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척추 전임의

학술활동
대한정형외과학회 학회장
세계척추측만증학회 (SRS) 정회원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APOA) 정회원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사무총장
아시아태평양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회장
아시아태평양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사무총장
대한정형외과학회 이사장
대한정형외과학회지 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
대한척추외과학회 회장
대한척추외과학회 학술-의료 평가위원회 총무
미국 미네소타대학 척추측만증센터 연구원
미국 미네소타대학 Twin Cities Medical School 연수
(전) 아시아태평양 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고문
(전)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APOA) 척추분과 평의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개원의 및 정형의학발전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관련학회조정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의료평가윤리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기획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국문학회지편집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상심사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국문학회지편집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고시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자산관리위원회 위원
(전) 대한정형외과학회 학회제도연구위원회 위원
(전) 대한척추외과학회 제도위원회 위원장
(전) 대한척추외과학회 최소침습척추치료연구학회 위원
(전) 대한척추외과학회 60주년 기념 학술대회 준비위원회 위원
(전) 대한골절학회 평의원
(전) 대한골절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
국제정형외과 및 외상학회 (SICOT) 정회원
아시아태평양 척추최소침습학회(PASMISS) 자문위원회 위원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