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누적된 총 기사 -367,414

심한 발목관절염, 인공관절 수술 필요할까?

이동오 박사의 발과 발목 살리기

SNU서울병원/이동오 원장

(그림 설명: 발목이 안으로 기울어진 변형이 심한 관절염으로, 인공관절 치환뿐 아니라 발의 구조를 같이 교정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출처: 에스앤유서울병원)

무릎 말기 관절염에는 오래 전부터 인공관절 수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반면에 발목의 경우 관절염 말기로 수술이 필요한 사람들이 가끔 이렇게 묻는다.

“다른 병원에서 인공관절 말고 발목고정술 하라고 하던데요?”

무릎과 달리 ‘발목고정술’과 ‘발목 인공관절 수술’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 현재까지 살아남은 수술법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둘 다 임상 결과나 합병증 비율에서 동등한 정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환자의 연령, 활동 등 상태에 따라서 최적의 수술 방법을 의사와 상담해 선택하면 된다.

발목 고정술은 전통적으로 통증을 없애 주는 훌륭한 수술법이지만 발목이 다소 뻣뻣해지거나 뼈가 붙지 않아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인접 관절의 관절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는 등 말기 관절염의 완벽한 치료 방법이라고 볼 수는 없다. 바로 이것이 인공관절이 개발된 배경인데, 예전엔 발목 인공관절의 역사가 무릎에 비해 짧아서 임상 결과가 무릎에 비해 좋지 않았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는 발목 인공관절도 많이 발전해서 인공관절 수술로 삶의 질을 되찾는 경우가 많다. 인공관절 제품도 1세대부터 시작해 3세대를 거쳐 최근에는 4세대 제품까지 나오고 있다. 필자가 미국에 있을 때도 다양한 인공관절 최신 제품이 사용되며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목격했다. 우리나라도 현재는 수입품을 쓰고 있지만, 곧 국내 제품도 출시될 예정이라고 하니 기대가 된다. 제품의 특성이 미묘하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알맞은 제품을 취사선택하는 의사의 경험 역시 필요하다.

어떤 사람들은 연골 줄기세포 이식술을 통해 망가진 발목을 되돌릴 수 없냐고 한다. 필자도 그런 세상이 오면 좋겠지만, 관절염이 말기까지 왔을 때 세포 이식수술로 그것을 되돌릴 방법은 아직 없다. 전반적으로 건강한 연골인데 한 군데만 국소적인 병변이 있을 때는 그런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말기 관절염에서 줄기세포 수술만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힘들다.

관절염이 오면서 발목이 틀어졌거나 발목을 떠받치고 있는 발의 변형이 동반된 경우, 이를 교정해서 균형을 잡아주지 않으면 인공관절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쉽게 고장 날 수 있다. 카메라를 받치는 삼각대의 한쪽이 짧으면 어떨지 상상하면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목 인공관절 수술은 발과 발목의 구조와 기능의 통합적인 이해와 경험이 필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오 박사의 발과 발목 살리기

발과 발목은 질환의 종류도 다양하고 환자들마다의 편차가 커 의사들마다 치료의견이 다를 때도 있습니다. 한양대 명지병원, 서울대병원 교수, LG트윈스,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 필드닥터 출신의 이동오 원장이 이에 대한 경해를 독자들과 나누고자 칼럼을 기고합니다.

SNU서울병원 /이동오 원장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
서울대학교 병원 인턴 및 정형외과 전공의
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족부족관절 전임의

경력
한양대학교 명지병원 조교수
서울대병원 정형외과 진료교수
미국 듀크대학교병원 족부족관절연구센터 교환학자 방문
LG 트윈스 필드닥터
대한봅슬레이·스켈레톤 팀 필드닥터
근로복지공단 자문의사
Foot & Ankle Specialist 저널 심사위원
대한정형외과학회지 분과 심사위원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심사위원

학회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현)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현)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 (현)
대한족부족관절학회 정회원 (현)
미국족부족관절학회 정회원 (현)

교육수련
2013년 AO Trauma Principles Basic Course, In-Cheon, Korea
2014년 IFFAS/AOFAS Annual meeting Foot and Ankle Course Chicago, IL, U.S.A.
2017년 AOFAS Annual meeting Foot and Ankle Course Seattle, WA, U.S.A.
2018년 AOFAS Travelling Fellowship and annual meeting, Boston, U.S.A.
2020년 ORS Annual meeting, Phoenix, AZ, U.S.A.
2022-2023년 Duke University Hospital Foot and Ankle 교환학자 방문

수상내역
2018년 미국족부족관절학회(AOFAS) Travelling Fellowship Award (해외연수)
2020년 대한 족부족관절학회 최우수논문상

집필
1. 족부족관절학(Foot and ankle disorders) 교과서 ‘발목관절염 유합술’ 부분 집필
2. 대한족부족관절학회 족부족관절 교과서 집필 책임간사
3. 대한족부족관절학회 족부족관절 교과서 ‘발톱과 피부’ 부분 집필
4. SNU update, ‘족관절 골절’ 부분 집필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