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 약물
심장 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하는 심부전. 이때 심장을 다시 뛰게 하는 심근 수축성 약물 몇 가지 있다.
심근 수축성 약물
‘심근 수축성 약물(inotropic drugs)’은 세포질 내 칼슘 이온 농도를 증가시켜 효과를 나타낸다. 심부전 환자에서 사용하는 수축성 약물은 생존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보통 매우 제한적으로 짧은 기간만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디곡신, 도파민 그리고 밀리논이 있다.
디곡신
‘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s)’는 대부분 식물에서 추출한 약물로 digitalis glycoside라 부른다. 과거 아프리카 원주민은 화살 독으로, 고대 이집트인, 로마인은 약물로 사용했다. 심장수축 증가에는 효과적이지만,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가 낮아 조심조심 사용해야 한다. ‘디곡신’은 심근 세포의 Na⁺/K⁺ ATPase를 억제, 칼슘 이온 농도가 유지 또는 증가한다. 또한, 미주신경이 항진되면서 심장 박동수가 감소하고 심근 산소요구량이 줄어든다. 결론적으로 심장은 강한 수축에 천천히 뛰면서 효율성이 좋아진다. 또한, AV node를 통한 전도 속도를 늦추어 심방세동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식욕감소, 구역, 구토, 시야 흐림 등의 초기 독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부정맥의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다. 특히, 저칼륨혈증 환자에서 독성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파민, 도부타민 그리고 밀리논
‘도파민, 도부타민’은 대표적인 β-아드레날린 작용제 즉,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이다. 심장근육 세포 내부로 칼슘 이온 유입을 증가, 심장은 더 강하게 뛸 수 있다. 또한, 혈관 확장으로 심장 기능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도파민과 도부타민도 보통 급성 심부전의 단기 치료에 주로 사용한다. ‘밀리논’은 phosphodiesterase 억제제다. 세포질 내의 cAMP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도파민, 도부타민처럼 칼슘 이온의 유입을 증가시켜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혈관도 확장한다. 심장이 강하게 뛰면 심박출량은 증가한다. 그리고 좌심실의 후부하도 감소한다. 이 약 또한 급성 심부전의 단기 치료에 주로 사용한다.
심부전에 사용하는 심근 수축성 약물은 효과적이다. 하지만, 양날의 검처럼 매우 제한적으로 짧은 기간만 사용하는 위험한 약이다. 특히, ‘디곡신’은 부정맥 치료에도 사용하는 약으로 혈중 농도 확인을 위해 자주 혈액검사를 하는 불편함도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 심근경색에 사용하는 약, 어떤 효과 있을까?
- 심장 기능 떨어지는 ‘심부전’ 치료에도 전략이 있다?
- 심장이 충분한 혈액을 보내지 못할 때, 어떤 약으로 치료할까?
- 심장 노화, ‘심방세동’으로 확인하세요
- 당뇨병·심장병이 잇몸때문에? 전신질환과 치주질환의 관계
- ‘심장 관련 검사’는 무엇이 있을까?
- 심근경색에 협심증까지… 주범은 ‘이상지질혈증’
- 젊은 층도 예외는 아닌 ‘돌연심장사’ 예방법
- 겨울철 불청객 급성심근경색, ‘이 증상’ 나타났을 때 이렇게 대응해야
- 성공적인 지방흡입의 핵심장치, 캐뉼라 이야기
- 오른쪽 심장과 왼쪽 심장? 심장은 하나 아닌가요?
- 심근경색, 겨울에 위험한 이유는?
- 심장에 염증이 생기면 어떻게 되나요?
- 내 말 듣지 않고 ‘쿵쾅쿵쾅’ 뛰는 심장… 이유가 뭘까?
- 심근경색에 대한 하나의 대안, 심혈관 중재술이란?
- 전 세계 ‘사망률 2위’ 심혈관 질환, 협심증과 심근경색 주의보
- 자동 심장 충격기, 어디에 있고 어떻게 사용하나?
- 심정지와 심장마비, 같은 뜻으로 혼동하지 마세요
- 심장이 안 좋으면 ‘발기부전 약’ 조심해야 하는 이유!
- 심장은 어떻게 계속 뛸 수 있을까?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