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제
머리도 빠지고 잘 먹지도 못하는 ‘항암치료’. 암의 특징과 항암치료 종류 그리고 그로 인한 부작용을 살펴본다.
암의 특징
악성종양의 가장 큰 특징은 ‘성장 속도’다. 정상 세포와 얼마나 비슷한지 분화, 주변 조직에 침투하여 파괴하는 국소 침습 그리고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도 악성종양(암) 특성으로 중요하다. 암의 I~IV기 병기(TNM stage)는 종양 크기와 국소 침습의 깊이(T), 주변 혹은 멀리 떨어진 림프절에 암세포가 발견되는지(N) 다른 장기로 전이(M)가 있는지를 고려한다. 의료진은 암의 종류와 위치, 병기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 암 치료에 나서게 된다.
암 화학요법
‘암 화학요법(chemotherapy)’의 목표는 암세포를 없애는 것이다. 모두 없애지 못하더라도 분화, 침습, 전이를 막아 생존율 연장, 결과적으로 ‘삶의 질 유지’가 최종 목표다. 항암제는 암세포 DNA를 직접 공약하거나 세포 복제에 필수적인 과정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기전으로 효과를 나타낸다. 항암치료는 보통 여러 약제를 함께 쓰는 ‘병용요법’이다. 단일 약물보다 효과적이고 정상 세포의 독성 범위 내에서 최대한 항암효과를 낼 수 있다. 언제 항암치료를 하느냐로도 구분할 수 있다. ‘선행 화학요법(neo-adjuvant)’은 수술 전 암 덩어리 크기를 줄이기 위해 사용한다. ‘보조 화학요법(adjuvant)’은 수술과 방사선치료 후 남아있을 수 있는 세포 단위의 암세포 치료를 위한 것이다. ‘고식적 화학요법(palliative)’은 완치 목적이 아닌 생존율 연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것으로 주로 말기 암 환자에 적용된다. 마지막 ‘근치적 화학요법(curative)’은 수술 없이 항암치료만으로도 완치할 수 있는 일부 암에 사용하는 항암치료를 말한다.
부작용
대부분 항암제는 악성 암세포만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작용, 여러 독성에 따른 증상이 나타난다. 독성에 치명적인 세포 위치를 생각하면 항암치료 후 부작용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 ‘모낭세포’에 영향을 미치면 머리가 빠진다. 입부터 항문까지 ‘위장관의 내피세포’에 영향을 미치면 구역, 구토 등으로 음식 섭취가 어려워지고 변비, 설사 등 배변도 불편해진다. 이런 증상은 탈모 치료제, 항구토제, 진통소염제, 지사제 등 여러 약을 적절히 쓰면 도움 된다.
문제는 혈액을 만드는 ‘골수세포’에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몸 방어 역할은 하는 백혈구의 수치 감소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항암치료 1~2주 사이 열이 나면’ 병원 방문이 꼭 필요하다. 그리고 힘들지만 ‘치료를 포기하지 않는 마음’, 항암치료에서 이 두 가지가 제일 중요하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