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32누적된 총 기사 -365,855

‘부분 마취제’는 몇 분 뒤에 마취 풀릴까?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박억숭 과장

리도카인 기전
각종 간단한 시술이나 수술을 위해 부분 마취(국소 마취)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부분 마취는 몇 분 정도 지속될까? ‘리도카인’의 기전과 반감기를 알면, 언제부터 다시 통증이 느껴지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국소 마취제
‘국소 마취제(local anesthesia)’는 의식 소실 없이 인체의 특정 부위 감각을 없애는 약물이다. 간단한 내과 시술, 외과 수술 그리고 치과 치료에 많이 사용한다. ‘리도카인(lidocaine)’은 짧은 시간 외과 시술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소 마취제다. 연고, 스프레이, 점적 형태로 눈, 입술, 잇몸, 목구멍을 포함한 점막과 피부에 사용한다. 수술 부위와 가까운 곳에 직접 주입하면 좁은 부위 신경도 차단할 수 있다. 약물을 뇌척수액에 주입하면 하복부, 다리 등 넓은 부위에 영향을 미치고, 경막외 공간에 주입하면 산부인과의 진통, 분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심지어 정맥에 주입해서 부정맥 치료제로도 사용한다.

기전과 주의사항
‘신경 자극(nerve impulse)’은 전기적 신호다. 신경세포 내부는 평소 음성(-)으로 안정기 상태다. 역치 이상의 자극을 받으면, 나트륨 이온(Na⁺)은 세포 내부로 이동하고 칼륨 이온(K⁺)은 세포 외부로 이동하면서 자극이 뇌로 전달된다. 상처 부위에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면, 주변 신경의 “Na⁺ 통로에 결합”하면서 자극 전달을 방해한다. 그래서 한동안 감각을 느끼지 못하고 이 틈을 이용해 절개, 봉합하는 것이다.

‘10분의 기적’이라는 말도 있다. 국소 마취제를 주사하고 10분 정도 대기, 주변 조직에 부기가 빠진 후에 시술해야 선(線)이 예쁘게 나온다는 얘기다. 처음에는 둔한 느낌이 이상하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다. 하지만, 리도카인 반감기는 ‘1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보통 이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감각이 회복된다. 만약, 혈관 수축제인 에피네프린을 추가한다면 약물 작용 시간은 늘어날 수 있다.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면 ‘따가움, 발적’ 등 알레르기 부작용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또한, 경련, 접촉성 피부염, 호흡곤란 심지어 호흡 정지 등 심각한 부작용도 발생할 수 있어 약물에 대한 ‘환자 과거력’이 중요하다. 특히, 혈관 안으로 약물이 들어가면, 심장의 전도체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환자 ‘활력 징후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