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외부 정보의 70%~80%를 눈을 통해 유입한다. 즉, 대부분 시각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판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각종 전자 및 스마트기기와 4D, VR, AI 프로그램 등을 접하는 우리 세대는 유난히 시각적인 자극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디지털 및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이 우리 일상에 편의를 가져다준 것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노안이나 백내장, 황반변성 등 노인성 안질환을 촉진할 수 있다.
최근에는 노인성 안질환의 발병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어 더욱 문제다. 노인성 안질환 중에서도 황반변성은 눈의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황반 부위에 변성이 일어나는 시력장애를 말한다. 증상은 대표적으로 시야 왜곡, 시력 저하, 시야 소실 등이 있지만 초기에는 글자나 선이 휘어져 보이게 된다. 여기서 더 진행되면 사물 중심이 까맣게 보이다가 결국 아예 보이지 않게 된다. 즉, 단순히 황반변성을 '노안이 심해졌다'고 치부하여 방치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황반변성의 종류는 건성 황반변성과 습성 황반변성으로 나뉜다. 건성 황반변성은 망막하에 드루젠이라는 노란 침착물이 보이는 단계로, 80~90%의 황반변성 환자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특정한 경우 외에는 현저한 시력상실로 이어지지 않지만,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될 경우 실명 위험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 경계해야 한다.
'삼출성 황반변성'이라고도 불리는 습성 황반변성은 변성 위치가 황반 또는 황반 아래인 경우로, 초기부터 시력저하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삼출성 황반변성은 전체 황반변성의 10~20% 정도를 차지하지만, 시력 예후가 매우 나쁜 편이라 치료 적기를 놓치면 2년 내 실명하게 된다.
황반변성의 치료방법은 크게 약물치료, 유리체강내 주사, 레이저 치료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아바스틴 유리체강내 주사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억제항체를 안구 내에 주사하는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의 증식을 억제하고 소멸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혈관벽을 튼튼하게 해주어 눈의 혈액 누출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다. 이 주사치료는 황반변성은 물론,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 정맥 폐쇄, 망막 출혈 및 부종을 겪는 환자에게도 시도할 수 있다.
노년을 젊고 활기차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체력 관리와 함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시력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눈에 좋은 음식이나 영양제를 챙겨 먹는 것도 좋지만, 흡연을 자제하고 자외선이 심할 때는 선글라스나 보안경을 착용하는 등 일상 속에서 눈에 해로운 요소를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40대부터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평소에 발견하지 못한 질병의 신호는 없는지 주기적으로 살펴야 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천현철 원장의 <오팔청춘 눈건강>
- 20대 스마일라식부터 50·60대 노안·백내장 수술까지, 시력의 질이 핵심
- 백내장수술로 노안 개선되나요? – 인공수정체 선택 신중하게
- 눈 앗아가는 당뇨망막병증… 시력 회복 돕는 ‘항체 주사’ 각광
- 40~50대 라식, 노안과 근∙난시 함께 고려한 시력교정술 필요
- 고도 난시를 동반한 노안 백내장수술… 적합한 인공수정체 선택이 중요
- 노안과 혼동하기 쉬운 백내장, 안개 낀 것처럼 뿌옇게 흐려 보이면?
- 라식·라섹 1세대의 백내장 수술 가이드… ‘다초점 렌즈’를 활용한 수술 고려
- 당뇨·고혈압 환자의 ‘백내장 수술’ 전 주의사항은?
- 정시형, 근시형, 원시형… 노안 종류 따라 수술법도 달라야
- 백내장 수술, 합병증 예방하려면?
- 국내 노안교정 수술 수준, 독보적인 이유는?
- 동안(童顔)도 피할 수 없는 노안(老眼), 국내 시력교정술 수준은?
- 40~50대 노안교정술, 노안과 근시 함께 교정한다?
- 노안과 백내장 수술: 레이저 교정과 인공수정체 삽입으로 시력 개선
- 젊은 백내장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은 뭘까?
- 기존 인공수정체 한계 극복 ‘퓨어See 렌즈’, 백내장 환자 만족도 높아
- 노안 교정, ‘노안 종류’ 따라 달라져
- 노안교정 원하는 중년층, 가장 적절한 수술은?
- 40대에 적합한 노안렌즈삽입술. ‘전방렌즈 알티플러스’란?
- 늘어나는 젊은 백내장, 발병 연령 낮아지는 원인은?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