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ъ뒪耳���N 24�쒓컙 �� �깅줉�� 湲곗궗 - 133嫄� �꾩쟻�� 珥� 湲곗궗 -365,639嫄�

대장내시경 약의 진화… 내시경, 이제 두려워 마세요

알기쉽게 알려드리는 탈장, 대장내시경 이야기

대장암은 국내에서 네 번째로 발생률이 높은 암이다. 지난해 기준 국내 암 사망원인 3위(통계청)를 차지했고 2~3년 전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기록했다. 대장암은 97%가 ‘선종성 용종’을 거쳐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장암의 씨앗(=선종성 용종)을 발견해서 제거해내기 위한 대장내시경 검사가 중요하다. 대장내시경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다면 대장암의 97%는 발생 전 단계에서 차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대장내시경 검사의 수검률은 매우 낮은 편이다. 수검 대상자 10명 중 3명만 받고 있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대장내시경 검사의 수검률이 이처럼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대장내시경 검사의 중요성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여러 검진 항목 중의 하나’로만 보는 분들이 많다. 그러다 보니 간단한 변 검사로 대체하고 싶은 유혹을 느끼기 쉽다. 그러나 변 검사에만 의지하는 것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변 검사는 변 속에 피가 섞여 있는지 보는 검사일 뿐이다. 변 속에 피가 있고 없음이 꼭 대장암의 유무를 말해주지 않는다. 그런데도 ‘변 검사가 정상이라는 말’을 '대장암이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는 안심하고 지내는 분들이 있다. 그 결과는 위험할 수도 있다. 변 검사에 의지하는 것이 안타까운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대장암이 생기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대장암은 서두에 말했듯이 용종 단계에서 발견해 제거함으로써 발생 자체를 막을 수 있는 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장암이 생길 때까지 기다렸다가 변 검사로 대장암을 진단하겠다는 것은 옳은 방법이 아니다.

대장내시경검사의 수검률이 낮은 핵심적 이유는 대장내시경 사에 대한 두려움이다. 즉 너무 고통스러운 검사라는 인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렇다면 대장내시경검사가 왜 고통스러운 것일까?

첫째, 대장의 구불구불한 구조 자체로 인해 내시경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심한 복통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내시경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겪는 극심한 복통은 다행히 수면대장내시경 사로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장 속을 펼쳐서 살펴보기 위해 검사 중에 불어 넣은 공기가 검사 후에도 오랫동안 남아 심한 불편감을 겪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도 요즘은 실내 공기 대신 의료용 이산화탄소 가스를 사용해 장을 팽창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실내 공기는 장점막을 통해 흡수가 전혀 되지 않아 오로지 방귀로 배출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심한 복부 팽만과 복통이 오는 데 반해 이산화탄소는 15분 이내에 장점막을 통해 100% 흡수되기 때문에 검사 후 수면에서 깰 때쯤이면 이미 뱃속이 편해져 있기 때문이다.

셋째, 마지막 요인은 바로 검사 전에 장 속을 깨끗이 청소하기 위해 마시는 대장내시경 약으로 인한 고통이다. 한 연구자의 논문에 의하면 사람들이 힘들어 하는 것은 대장내시경 약의 너무 많은 복용량, 거북한 맛, 배고픔, 수면 부족 순이라고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1969년 대장내시경검사가 처음 시작된 이래 52년이나 지났음에도 대장내시경 약의 발전은 거의 제자리걸음 상태이다. 즉 요즘도 여전히 2-4리터에 달하는 약과 물을 마셔야 하며, 맛도 거기서 거기라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40대 중반의 여성께 대장내시경 검사를 해드린 적이 있다. 1cm가 넘는 큰 대장 용종을 2-3개가 발견돼 제거해 드렸는데 결과 설명을 듣던 이 여성이 갑자기 흐느껴 우셨다. 무슨 사연인가 들어보니 한해 전에 남편이 대장암으로 사망했다는 것이다. 남편도 대장암이 생기기 전에 미리 대장내시경을 받았으면 됐을 텐데 대장내시경 약을 먹기 너무 힘들다면서 포기할 때 억지로라도 시키지 못한 게 너무 후회된다며 눈물을 그칠 줄을 몰랐다.

이처럼 아직도 극복하지 못한 대장내시경 검사의 고통 가장 큰 원인은 대장내시경 약 문제이다. 실제로 많은 연구 논문들에 의해 사람들이 대장내시경검사를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가 바로 복용하기 힘든 대장내시경 약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근래 속에 거슬리는 맛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알약 형태의 대장내시경 약도 개발됐지만, 알약과 함께 마시는 물의 양은 여전히 2-4리터에 달한다. 이처럼 너무 많은 복용량의 문제는 정제형 대장내시경 약도 풀지 못한 숙제로 갖고 있다. 알약이지만 28~42알이나 삼켜야 한다는 것도 쉽지가 않다. 또한 알약이 위 속에서 녹는 과정에서 고농도의 자극성 용액이 만들어져 위 점막을 심하게 자극함으로써 심한 구토나 구역 감이 종종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출혈성 위염이 발생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부 정제형 대장내시경 약은 신 독성 문제가 불거졌던 인산염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신장 기능이 떨어져 있는 분들은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대장내시경 약 복용의 편리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원에서 오랜 연구 끝에 개발하게 된 대장내시경 약은 총 복용량을 1.38리터로 줄이고, 역함 대신 주스처럼 편안하게 마실 수 있도록 맛을 개선했다. 감미료와 비타민C 등 자극이 적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역, 구토가 상당히 줄어 들었다. 임상시험 과정에서 해당 약으로 다시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98.4%인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같이 재복용의 의사가 있다면 대장내시경 약 때문에 검사를 기피하던 기존의 난제는 곧 해결되지 않을까 큰 기대가 된다. 앞으로도 계속된 연구와 개발을 통해 더 쉬운 대장내시경 약이 나와 우리 모두 적극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서 대장암을 희귀암으로 만들 날을 기대해본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알기쉽게 알려드리는 탈장, 대장내시경 이야기

우리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외과 질환(탈장, 맹장, 항문질환 등 ), 대장 내시경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알기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쁨병원 /강윤식 원장
약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의학박사 학위 취득
서울외과 개원 및 대표원장
대항병원 실립 및 대표원장 역임
현 대한외과학회 부회장
현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동문회장
현 한국외과연구재단 이사
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삼성서울병원) 외래교수
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서울대학교병원 외과 임상자문의

저서
2015 굿바이 탈장 (청림라이프 출판사)
2021 국소마취 무인공망 탈장수술 강리페어 (청림라이프 출반사)
  • Copyright HEALTHCHOSUN.COM



�ъ뒪耳��퀿 �ъ씠�몄쓽 �댁슜�� ���� ���묎텒 諛� 踰뺤쟻 梨낆엫�� �먮즺�쒓났�� �먮뒗 湲��댁씠�� �덉쑝硫�, �ъ뒪議곗꽑 �ъ뒪耳��퀿 �낆옣怨� �ㅻ� �� �덉뒿�덈떎.

(二�)�ъ뒪議곗꽑, �쒖슱�� 以묎뎄 �몄쥌��濡� 21湲� 30 議곗꽑�쇰낫�� �낅Т�� | 臾몄쓽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