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 활동 통한 무릎 부상으로 병원 방문 환자 多
3D 프린팅과 3D시뮬레이션 이용, 개인 맞춤 인공관절 선택할 수 있어
최근 축구나 스노우보드, 테니스, 야구 등 레저 활동을 즐기다 무릎 부상으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많다. 운동으로 인하여 부상을 입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인대나 연골이 심하게 파열돼 병원 신세를 지거나 상당 기간 치료에 매달려야 하는 사람들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문제는 무릎의 부상에도 즉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게 되는 경우다. 무릎 부상을 방치하게 되면 무릎의 불안정성이 생겨 보행 시 ‘덜컹’거리는 느낌이 생길 수 있으며, 무릎의 심각한 퇴행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흔히 알고 있는 퇴행성관절염은 노년층에게서만 나타나는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격한 운동이나 잘못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퇴행성관절염을 진단받는 젊은 층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퇴행성관절염은 노화 외에도 과격한 운동, 반복되는 외상,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자세 등의 이유로 발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손상 정도에 따라 1~4기로 구분된다. 증상 초기에는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괜찮아지기도 하지만, 이후에는 통증이 지속되다가 통증과 함께 붓기와 열감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심한 경우에는 보행에 어려움을 겪게 되기도 한다.
퇴행성관절염의 증상 말기에는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한데, 인공관절을 이용한 수술은 관절 간의 마찰을 줄여 통증 완화와 운동범위 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3세대 인공관절술을 도입해 3D 맞춤형 인공관절을 통한 수술을 선호하는 이들이 많다.
3세대 인공관절은 기존 인공관절에 비해 다양한 디자인을 고를 수 있어 환자의 무릎 상태에 적합한 인공관절을 사용할 수 있고, 3D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 관절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수술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으며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속도가 빨라 수술에 대한 부담감도 적은 편에 속한다.
3세대 인공관절은 개인의 무릎 모양과 크기에 맞춰 수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들어맞는 인공관절로 수술로 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3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수술을 할 수 있어 그에 따른 감염이나 출혈 등 수술 위험이 적은 것도 특징이다. 다만, 인공관절 수술 시에는 의료진의 경험과 숙련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수술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을 찾아 충분한 상담을 통해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관절 주치의 고용곤의 건강 칼럼
- 무릎 인공관절 재치환술, 적절한 시기 결정이 중요
- 가족을 행복하게 하는 로봇 무릎 인공관절을 꿈꾸며
- 이름도 다양한 ‘무릎 주사’, 정확한 명칭과 효과를 알아본다
- 심한 발목관절염, 인공관절 수술 필요할까?
- 사지연장술 부작용 ‘무릎 굽음’, 어떻게 해결할까?
- 30~40대도 피할 수 없는 무릎 관절염, 제때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 성공적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 위해 꼭 고려해야 하는 것은?
- 퇴행성관절염 치료, ‘인공관절 VS 근위경골절골술’ 뭘로 선택해야 할까?
- 발목 관절염 치료해야 하는데, 내 발목도 인공관절 가능할까?
- 무릎에 물이 찼다는데, 꼭 빼야 하나요?
- 로봇인공관절수술, 무통주사 안 맞고도 할만하네요
-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 재건술, 자가건과 타가건 차이는?
- 무릎 관절염을 치료하는 모든 방법
- 무릎 퇴행성 관절염, 치료법 나누는 기준은?
- 본격적인 마라톤 시즌, 무릎 아픈데 뛰어도 될까요?
- 무릎 관절염에서 근위 경골 절골술의 적용
- 무릎 연골, 오래 쓸 수 있는 방법은?
- 무릎 수술 전 엑스레이·MRI 검사, 둘 다 하는 이유
- 자가골수 무릎 주사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휜다리 그대로 방치한다면? 인공관절, 피할 수 없어
- Copyright 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