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6누적된 총 기사 -367,413

척추에 좋은 자세, 어릴 때부터 가르쳐야 한다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

수원윌스기념병원/박춘근 병원장

요즘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도 전에 영어와 수학, 예체능 분야의 조기 교육을 받는 것이 당연시되고 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잘 먹고, 잘 자고, 잘 크는 것이 아닐까? 특히 잘 크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어린 시절부터 고착된 아이의 걸음걸이나 자세가 평생의 척추 건강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늘어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잘못된 자세는 성장기 아이들의 충분한 키 성장을 방해하고 척추측만증을 유발하는 해로운 요인이 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6년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성〮연령별 평균 사용 시간이 만 10~19세 남〮여 모두 1시간 30분 이상으로 연령층별 순위로는 3위를 기록하였다. 총 연령별 분할 구간이 8개로 나뉘어있는 것을 생각해보면 비교적 높은 순위에 해당한다.

올바른 자세를 취하는 것의 중요성은 재차 강조하여도 모자람이 없다. 자세가 바로 잡히지 않으면 아이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집중력이 떨어지면 공부한 것에 비해 성취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렇다면 아이에게 매 순간 올바른 자세를 강요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 정답은 아니다. 척추에 좋은 운동을 유도하고 아이의 성장에 따라 체형에 맞는 책상과 의자를 교체하는 것, 좌식보다는 입식 생활을 권장하여 척추에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척추 건강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아이들에게 논리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 백 마디 잔소리보다 나은 부모의 역할이다.

특히 급성장기 아이들에게 스마트폰 사용이 위험한 이유는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에 집중하는 시간만큼 목이 견뎌내는 하중이 증가하여 비정상적인 퇴행성 변화를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경추는 목 뼈와 신경 사이의 공간이 요추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청소년기 형성된 잘못된 생활 습관이 향후 목디스크를 불러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는 고개를 숙이지 않고 화면을 눈높이에 맞춰 구부정한 자세가 되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로 지도한다. 장시간 동안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은 금지하고 30분에 한 번씩 목을 돌리고 허리를 세워 스트레칭을 시켜 아이의 주위를 환기해 주는 것이 좋다.

자연스럽게 척추 건강을 지키면서 아이의 바른 자세 습관을 길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운동이다. 하루 종일 의자에 앉아있거나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척추에 엄청난 피로를 야기한다. 이때 척추의 피로를 해소해주는 방법은 눕고 쉬는 휴식이 아닌 서서 걷고, 적당히 뛰는 것 이다. 우리 몸을 지탱하는 척추 건강은 근육량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근력이 떨어지면 척추 혼자서 체중의 60%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세를 교정하면서 척추 근력을 기르는 운동으로 권장할만한 조기교육법은 발레와 태권도를 추천한다. 발레는 어릴 때 배우면 척추 라인을 바로 잡아주기 때문에 자세가 잘 잡혀 성장기에 큰 도움이 된다. 태권도는 체력을 증강시켜 줄 뿐 아니라 성장기 어린이의 심신을 단련해 기본 생활 태도를 기를 수 있다. 

하루 아침에 좋은 자세를 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좋은 자세가 익숙해지고 허리 근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면 나중에는 의식적인 노력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자세를 똑바로 잡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릴 때부터 올바른 자세 익히기가 중요한데, 많은 부모님들이 이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성장기 아동의 적절한 운동은 성장판이 있는 아킬레스건을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의 촉진을 돕기 때문에 키 성장에도 도움을 준다. 다만 지나치게 무리하고 체력 소모가 많은 운동이나 척추가 한 방향으로 과도하게 뒤틀리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

백세 인생을 위한 쉽게 풀어쓰는 척추 가이드

수원윌스기념병원 /박춘근 병원장
[학력 및 경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신경외과학 석/박사
(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빈센트 병원, 신경외과 부교수
(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외래교수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교환교수
대한최소침습척추수술연구회 6대 회장 취임
대한최소침습척추수술연구회(KOMISS) 고문
대한줄기세포∙조직재생학회 부회장
척추치료기기명품화연구회 초대 회장 역임
대한신경외과 서울경인지회 부회장
대한척추내시경수술연구회 부회장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 상임위원
경기국제의료협회(GIMA) 이사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보험상임이사
대한병원협회 상임이사
집회시위자문위원회 위원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재난적 의료비 심의위원장
경기도의사회 부회장
대한전문병원협의회 보험위원장
대한중소병원협의회 사업위원장
수원지방검찰청 의료자문위원회 회장
수원지방검찰청 범죄피해자지원센터 부이사장

[주요 저서]
미국에서 출판된 의학교과서
‘Lumbar Interbody Fusion Techniques : Cages, Dowels, and Grafts’(공저)
척추학 제2판(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공저)
최소침습 척추수술(공저)
신경 손상학 교과서(대한신경손상학회, 공저)
건강서적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단행본, 저자)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