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03누적된 총 기사 -366,280

남성갱년기란?

비뇨기과 전문의들의 성 클리닉

비뇨기과/전문의

▲ 대구 탑연합 비뇨기과 이우근, 이종우원장

사십 대 중반의 이씨는 요즘 살 맛이 나지 않는다. 아내를 봐도 별 다른 감흥을 느끼지 못해 이런 핑계 저런 핑계로 잠자리를 피하기 일쑤고, 어쩌다 하는 아내와의 잠자리 역시 속칭 의무방어전이 되어 버린 지 이미 오래다. 게다가 회사에서는 괜히 아무 것도 아닌 일로 부하직원들에게 짜증만 내고 매사 귀찮아지기만 한다. 입맛이 없는 것은 물론이고 어디론가 훌쩍 떠나 여행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다. 사는 게 왜 이렇게 피곤한지, 자신이 무엇 때문에 살고 있는지, 인생전체에 대한 회의마저 든다.

남성은 40대 중반~50대 초반이 되면, 젊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 결핍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여성에 비해서는 경미하지만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는 남성호르몬의 표적장기인 생식기를 비롯해서 골, 근육, 중추신경계 등에 노화현상에 따른 각종 증상이 나타난다. 성욕과 성기능이 떨어지고 얼굴이 쉽게 붉어지며 땀이 많이 나고 입이 마르며 피로가 쉽게 오고 매사에 의욕이 없고 무감각해지며 집중력이 떨어진다. 심할 경우 우울증까지 생겨서 치료가 필요할 정도이다.

여성은 폐경기가 되어 생리가 중단되면 호르몬 생산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반해, 남성 호르몬 생산은 30세를 정점으로 해마다 1%씩 감소한다. 물론 개개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어 동반질환이 없는 80세의 노인이 젊은이에 비견할 만한 남성호르몬 수치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간혹 있다. 하지만 대체로 42~53세가 되면 젊었을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호르몬 결핍 상태가 되며, 일반적으로40~60세 남성의 7%, 60~80세 남성의 21%, 80세 이상 남성의 35%에서 남성호르몬 생산이 정상 이하로 떨어져서 갱년기 증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남성 갱년기는 여성 갱년기보다 뚜렷하지는 않지만 여성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알코올 남용, 간기능 이상, 동맥경화증, 비만증, 심한 당뇨병, 심근경색증, 고혈압, 호흡기질환이 동반되어 있거나 지나친 흡연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같은 연령의 건강한 남성에 비해 남성호르몬 생산이 15% 이상 감소하여 노화를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남성의 노화는 주로 고환에서 생산되는 남성호르몬의 감소에서 비롯되지만, 부신에서 생산되는 DHEA와 뇌하수체에서 생산 되는 성장호르몬 및 멜라토닌의 감소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 남성들은 중년기가 되면 자신의 일생을 재평가하게 되고 못 이룬 꿈과 기회를 되돌아보기 시작하며, 건강과 직업에 대한 앞으로의 문제에 대해 걱정하면서 우울증에 빠지기도 하는데, 이런 것들이 갱년기 증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노령에서 남성호르몬 결핍에 의하여 발생하는 발기부전증에 대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은 성욕과 발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더러, 기분전환, 골대사, 근육질과 신체지방분포에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복부 지방질을 감소시키는 대신 근육질을 증가시키며 손의 쥐는 힘과 하지의 힘을 증가시키고, 뼈를 튼튼하게 하며, 혈청지질대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으로는 남성호르몬을 3~4주마다 근육주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반창고처럼 피부에 부치는 `패치'형이 개발되어 보다 이용이 간편해졌다. 하지만, 피부 부작용과 효과가 미약해서 주사제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며, 최근 한번 주사하면 3개월간 약효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품이 소개되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물론, 정확하고 올바른 사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의와의 상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 이우근 원장님 약력
경북대학교의과대학, 동대학원 졸업
경북대학병원 전문의 취득
춘천병원 진료부장
울산제일병원 피부비뇨기과 과장
미국 뉴욕 Albany의대 연수
유엔 평화의료지원단 진료과장
가톨릭대학병원 외래교수
현, 탑연합피부비뇨기과 원장
대한 남성과학회 정회원
대한 전립선학회 정회원
대한 배뇨장애 및 요실금 학회 정회원
▶ 이종우 원장님 약력
경북대학교의과대학, 동대학원졸업
경북대학병원 전문의 취득, 의학박사
호주 Melbourne 왕립 여성병원 연수
유럽 EAU, ICS 연수
포천중문의과대학 비뇨기과 교수
성교육 연구소 자문의
현, 탑연합피부비뇨기과 원장
대한 전립선학회 정회원
대한 배뇨장애 및 요실금 학회 정회원
대한 내시경 비뇨기과 학회 정회원
대한 성학회 정회원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비뇨기과 전문의들의 성 클리닉

비뇨기과 전문의들에게 들어보는 생생한 성 클리닉 이야기

비뇨기과 /전문의
▶ 갈원준 : 유로탑비뇨기과(강북점) 원장
▶ 김봉국 : 코아비뇨기과 공동원장
▶ 조은석 : 코넬비뇨기과(서울) 원장
▶ 이병태 : 예스연합비뇨기과 원장
▶ 선영배 : 청량리본비뇨기과 원장
▶ 이주환 : 삼성좋은날 비뇨기과 원장
▶ 이우근 : 대구 탑연합 비뇨기과 원장
▶ 이종우 : 대구 탑연합 비뇨기과 원장
▶ 차영일 : 차영일 비뇨기과 원장
▶ 이경구 : 임팩트 비뇨기과 원장
▶ 박영웅 : 나주피부비뇨기과 원장
▶ 김종연 : 나주피부비뇨기과 원장
  • Copyright HEALTHCHOSUN.COM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